지방을 회생시키는데 귀농·귀촌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2016 귀농어·귀촌인 통계'를 통해 농·귀촌 정책이 구체적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방소멸 위기 극복 및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 현실적인 실천 수단으로서 귀농·귀촌 정책을 더욱 체계화해야 한다는 제안도 곁들였다.
잘 알려졌다시피 귀농·귀촌 정책은 참여정부가 추진한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정책 이후 꾸준히 이어져 왔다. 노무현 대통령 자문 농어업·농어촌득별대책위원회는 도시민의 농어촌 유치·정착을 통한 농·도 상생을 목표로 하는 ‘농어촌 복합생활공간 조성정책’을 추진했다. 당시 이 정책은 농어촌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고 여가문화건강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 증가로 농어촌지역이 전원휴식공간으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는 사실에 주목했다. 농어촌을 도시민이 찾고 싶고, 가서 살고 싶은 쾌적한 정주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이후 귀농·귀촌정책은 도시민의 유치를 기대하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호응 속에 지속돼 왔다. 이에 힘입어 귀농·귀촌인은 전국적으로 2013년 42만3,684명, 2014년 45만8,861명, 2015년 48만8,084명, 2016년 49만6,048명으로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농경연은 특히 귀농·귀촌인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농업·농촌 발전에는 고무적이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귀농·귀촌인들은 일자리 대안으로서나 농업·농촌의 가능성에 주목해서, 또는 자연환경 등을 비롯한 농촌의 매력 때문에, 도시생활의 피로도에서 벗어나고자 농촌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진단됐다.
본격적인 귀농·귀촌정책이 시작된지 10년을 넘어서는 지금 더욱 체계화된 정책이 필요하다. 지난 10년간 추진된 모든 관련 정책이 다 성공적인 것은 아니었듯 다 실패한 것도 아니다. 사례별로, 지역별로 장단점을 철저히 분석한 실전 정책이 필요하다. 완주, 고창, 진안 등 귀농·귀촌정책이 비교적 잘 추진되고 있는 지역 사례의 적극적인 발굴도 도움이 될 듯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긴 호흡이다. 단기적 대책은 기대하는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 지금까지의 교훈이다. 귀농·귀촌으로 인구 소멸을 막을 수 있다는 믿음 아래 장기적이고 치밀한 정책 마련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