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학 총장 직선제 부활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전해진다. 현재 대학서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하는 방식 대신 교수 등 대학 구성원들이 투표로 후보자를 뽑으면 대통령은 그대로 임명해주는 방식으로 바꾸자는 움직임이다.
  제주대가 가장 빠르게 ‘총장 직선제’ 부활을 곧 결정한다 하고 서울대는 교수 평의원회서 추진 중이며 전북대도 교수회서 특위를 구성해 총장선출 방식을 논의 중으로 전해진다. 현재로서는 ‘총장 직선제’로 흐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무엇보다도 문재인 대통령이 국립대학총장 임명권한의 행사 대신 대학 구성원들의 자율적 선택에 맡기겠다고 했다. 김진표 국정기획자문위원장도 대학 추천 대통령 임명제 때 빚어진 ‘적폐’ 청산 차원서 이를 바로 잡겠다고 했다.
  정부가 국립대학 구성원들에 총장을 직접선거 등의 방법으로 선출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준 것이나 다름없다. 총장 직선제를 선호하는 대학 내 세력들에 기회가 되고 있을 것이다.
  민주화 후 국 사립에 관계없이 총장 직선제가 대세였다. 교수 등 구성원들이 총장을 투표로 선출하면 임명권자인 국립대학의 대통령과 사립대학의 이사장은 그대로 임명장을 준다. 임명권이 형해(形骸)화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직선제 총장시대 대학가에 신종 폐해가 쌓여온 게 엊그제까지의 사실이다. 선거제가 갖는 정치판의 폐해가 고스란히 대학가에 옮겨 붙은 것이다.
  선거 속성 상 총장 ‘입지(立志)’교수의 선거운동은 필수다. 캠프를 차리고 인기영합 ‘정책’공약으로 동참 운동원 교수들과 연중 득표활동을 편다. 강의와 연구는 뒷전이다. 지지그룹 따라 대학이 파벌로 사분오열되고 선거자금도 필수여서 비리 씨앗이 된다. 가장 큰 적폐는 ‘당선’과 ‘취임’ 뒤 논공행상이다. 대학기구가 팽창하고 보직교수가 확대된다.
  직선제 적폐가 커지고 대학가 여론이 악화돼 사립대학들이 앞서고 국립대학들이 뒤따라 추천 임명제로 전환했다. 그러나 제도에 완벽이 없듯이 추천 임명제 폐해가 없지 않았다. 박근혜 정부서 ‘알 수 없는 이유’로 총장 임명 지체가 상례처럼 됐다.
  총장 직선제가 부활되고 정치판의 선거 병폐가 다시 대학가에서 재연된다면 대학과 나라의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