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약 5년간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를 감안해 보다 적극적인 귀농·귀촌 대응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아울러 베이비부머 세대의 다양한 재능과 전문성을 지역사회에서 활용할 때 점차 소멸되고 있는 농촌마을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박대식 선임연구원은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귀농·귀촌이 단순한 인구의 증가가 아니라 지역사회 생태계를 유지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 5년간 귀농·귀촌 추세(연평균 2.9% 증가)와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 등을 감안하면 향후 5년간 귀농·귀촌 인구는 증가세가 전망되며, 2021년 귀농가구는 2015년보다 17.2% 증가한 약 1만 4,000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런데 아직 이들에 대한 귀농·귀촌 정책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지 않고 있어 자칫 이들의 귀농·귀촌 시 지자체가 혼란을 겪을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또 베이비부머 세대의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존 주민과 귀농·귀촌인의 갈등 해소, 협력 강화 등에 초점을 맞춘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하고, 농지 부족, 농지 규모화의 어려움 등에 관해 중앙정부 및 지자체의 정책적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베이비부머 세대의 다양한 재능과 전문성을 지역사회에서 활용해야 농촌사회가 재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유지될 수 있음도 덧붙였다.
결국, 관련 정책들이 귀농·귀촌인에 대한 정부·지자체의 단순한 지원이라는 관점을 넘어 농촌 지역공동체의 재조직화라는 사회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때 귀농·귀촌 정책의 목표점인 농촌사회 기능 유지를 이뤄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