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농가들의 소득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20% 구간의 농가소득은 지난 10여년 간 2481만9000원 증가했지만 하위 20% 구간은 81만3000원 증가에 그치면서 소득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농가소득 양극화는 도내에는 0.5ha 미만의 소규모 농가가 많고, 농촌지역이 급격히 고령화되면서 고령농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중소농·고령농을 위한 맞춤형 정책 발굴과 농촌사회 유지와 농외소득 향상을 위한 비농업부문 일자리 확대 등이 요구되고 있다.
12일 전북도와 전북연구원은 ‘농가 양극화 해소 방안’을 주제로 삼락농정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전북연구원은 이민수·조승현 연구위원이 발표한 ‘전라북도 농가경제 현황과 시사점’에 따르면 도내 농가 상위 20%의 농가소득은 2005년 6728만2000원에서 2015년 9217만3000원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하위 20%의 농가소득은 710만4000원에서 791만7000원으로 겨우 81만3000원이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그러면서 2005년 9.5배였던 농가소득 격차가 2015년에는 11.5배로 더욱 커졌다.
또한 3ha이상 대농은 농가소득이 연간 3%씩 증가했지만 0.5ha 미만 소농은 연간 1.4% 정도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농업소득만 놓고 보면 차이는 더욱 확연해진다. 3ha이상 대농들의 농업소득은 작은 규모라도 꾸준히 증가해 2003년 대비 2015년에는 300만원 가량 늘었다.
그러나 0.5ha 이하 소농의 농업소득은 연간 2.2%씩 감소하면서 2015년 농업소득이 2003년 에 비해 700만원이나 줄어들었다.
특히 도내 농촌지역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농가소득 증가가 둔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농업총조사에 의하면 도내 70대 이상 농가경영주 비율은 2000년 17.5%에서 2015년 38.9%로 크게 늘었으며 2015년 기준 연령대별 농가소득은 50대 6546만2000원, 60대 4102만2000원, 40대 이하 3983만3000원, 70대 이상 2357만6000원으로 조사됐다.
여기다 도시가구 중위소득 50% 이하인 빈곤 농가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농업소득 이외의 농외소득 확보 전략 마련 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북연구원 측은 규모화된 전업농, 중소가족농, 농업소득이 극히 미미한 재촌탈농 등 도내 농가를 세 개 층으로 나누어 계층별 맞춤 정책 추진을 제안했다.
조승현 부연구위원은 “중소농·고령농 등 맞춤형 정책 발굴을 추진하는 동시에 농촌사회 유지와 농외소득 향상을 위한 비농업부문 일자리 확대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혜기자·kjhwjw@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