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심심찮게 볼 수 있었던 기사가 '채소가격 폭등으로 장보기가 겁난다'는 소식이었다. 더 나아가서는 채소 일부가 오른 것을 두고 '소비자물가 및 체감물가 상승을 견인했다'는 평을 자주 접하게 된다. 또는 직전년도 '기저효과'나 '폭락' 등의 설명 없이 '채소 전년동월대비 2배 폭등' 등 자극적인 표현 일색이다. 그런데 과연 채소가 수시로 물가상승의 주범 역할을 하고 있을까? 실제는 물가상승을 이끈 적이 거의 없다. 그런데도 언론의 단골 메뉴로 농축산물 및 채소가격 등이 오르면서 농산물이 물가상승의 주범인 것처럼 오인받고 있다. 이로 인해 농민들이 2번, 3번 가슴이 탄다.
통계청의 '6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채소 물가지수는 96.22였다. 이는 2015년 기준이 100이었을 때 3.78% 가격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전년보다는 1.6% 가량 올랐을 뿐이다. 그런데도 소비자는 채소를 자주 구매하다 보니 채소가격 상승 소식이 버겁게 느껴진다. 특히 해마다 가격이 급변하는 채소의 경우 소비자의 심리적 부담은 더욱 커진다. 예를 들어 지난 2014년 kg당 2,000원이던 양파 가격이 2015년 kg당 500원으로 폭락했다가 2016년 kg당 1,000원으로 반등했다면, 2016년 기사는 온통 '양파값 2배 폭등 및 밥상물가 비상'으로 채워진다. 생산농민은 전년도 손해를 복구하지도 못해 속이 타는데, 기사는 자극적인 내용만을 선택한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지수에 사용되는 460개 품목의 가중치를 보면 전세 월세 43.6, 관리비 18.6, 휴대전화요금 38.3 등을 모두 합해 1000지수가 된다. 이 중 농축산물 가중치 지수는 모두 합해도 66이다. 여기에서 양파나 상추 등의 지수는 형편없이 작다. 이런 지수의 상승이 전체 물가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하지만 채소가격 급등이 물가상승의 원인인 것처럼 발표되고, 소비자는 자주 구매하는 채소 가격이 오른 것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커진다. 이 때문에 농민들은 채소값 관련, 선정적 보도를 자제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언론과 소비자들의 여론이 농축산물 가격을 높다고 인정하면, 정부는 비축량 방출에 더해 수입량 확대로 가격을 잡으려 한다. 이후 가격이 떨어지면 양파 생산농민의 경우 전년도 손해분을 찾지도 못하고, 수입산의 국내시장 잠식은 확대되는 악순환이 이어진다. 통계청 역시 농축산물의 경우 최근 5년 평균가격대비 수치와 가중치 지수에 대한 영향 분석을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소비자와 농민 모두 정치적 통계에 휘둘리기를 원하지 않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