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도내 14개 시·군과의 갈등 예방과 소통 강화 위해 실시하고 있는 ‘실·국장 지역책임제’가 겉돌고 있다.

일부 실·국의 경우 시·군과의 업무 협조 등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내고 있지만 실·국장들의 관심이 부족하다 보니 적극적인 행보보다는 지역 상황만 살피는 단순 지역 출장 형식의 제도로 전락했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도에 따르면 실·국장 지역 책임제는 도의 정책 공유를 위해 14개 시·군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국장이 특강과 간담회 등을 통해 책임지역과의 긴밀한 유대관계를 형성·유지하고 현안발생 시 소통을 강화하는 취지로 만든 제도다.

실제 지난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실·국장 지역책임제’를 통해 도와 시·군 간의 긴밀한 협조 체계를 만드는 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도 나온다.

그러나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실·국장 지역 책임제 추진 실적을 보면 직원 특강을 실시한 실·국장은 14명 가운데 기획관(3건), 복지여성보건국장·소방본부장(각 1건) 등 3명에 불과하다. 도민안전실·자치행정국·농림수산식품국 등 나머지 실·국장들의 경우 직원 특강 실적이 없었다.

또 각 시·군의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찾는 현장행정은 총 73건이 진행됐지만, 경제산업국(42건)을 제외하고 대부분 1~4건에 불과했다. 현장행정도 각 시군 관계자와의 간담회 위주보다는 위험시설물 등의 점검 수준에 그쳤다.

이는 소통과 협업을 표방한 실·국장 지역 책임제가 관심 부족으로 이전의 단순한 지역 출장 형식에서 벗어나지 못한 셈이다.

더욱이 책임지역을 실·국장 연고지에서 업무 연관 중심으로 바꿨지만 실효성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전북도가 각 시·군의 소통과 협업 자세를 강조하며 추진하고 있는 ‘실·국장 지역 책임제’가 시·군의 든든한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실·국장들의 보다 적극적인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도 관계자는 “실·국장 중심의 지역책임제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제도 정비를 통해 시·군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활성화 시켜 발전적인 도정을 이끌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