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혁신도시협의회가 당초 정책 의도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전국 혁신도시들의 정주여건 개선과 활성화를 위해 서울 등 수도권 소재 신설 61개 공공기관들을 추가로 내려 보내라 요구했다고 전해진다.
  협의회는 최근 정기총회 결의문을 통해 전국 시도에 조성된 10개 혁신도시들에 수도권 소재 115개 공공기관 이전이 마무리됐으나 이들 혁신도시들 실상이 당초의 정책 목표와는 거리가 멀다고 했다.
  계획된 공공기관들이 모두 이전을 완료했는데도 혁신도시들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대부분 혁신도시들의 도시 규모가 배정된 공공기관 수용능력을 월등히 넘어서는 의욕적인 건설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에 더해 보다 직접적으로는 이전 기관 임직원들의 가족동반 이주가 전국 평균 30.6%에 불과해 저조한데다 지역인재 채용 또한 평균 13.2%에 불과하다. 임직원의 70%가 기러기 가족으로 서울과의 교통수요만 폭증시킨 결과를 빚고 있다.
  지역인재 채용이 낮아 지역 안의 혁신도시 이주인구 유인도 제대로 일궈내지 못하고 있다. 인구 유입의 저조로 상가나 병원 학교 문화 체육시설 등 도시기능의 활성화는 물론 각종 도시 기반시설 등의 확충이 부진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
  더구나 정부가 혁신도시 기반 조성만 지원했을 따름, 정작 당초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혁신도시 활성화 등은 재정이 취약한 기초자치단체들에 떠넘겼다. 이 때문에 혁신도시 오늘의 실상이 빚어지고 있다는 게 지자체들의 불만이다.
  협의회는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이 끝난 전국 혁신도시들의 정주여건 개선과 활성화를 위해 지역인재 30% 이상 채용 의무화,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들의 지역공헌사업 법제화, 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국 도비 지원의 제도화도 요구하고 있다.
  이들 중 우선 지역인재 일정 비율 이상 채용 의무화 등은 상당히 진전을 이루는 듯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적인 대책은 전국 혁신도시에 1차 115개 공기관 이전 확정 뒤 신설된 수도권 61개 공공기관의 2차 이전이라 믿는다.
  문재인 정부는 노무현 정부서 결단한 혁신도시 건설을 성공적으로 완결할 승계 의무가 없지 않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