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인력 채용 시기를 앞둔 전국 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이 정부의 출신지역을 묻지 말라는 블라인드 채용방식과 출신 지역을 물으라는 지역인재 할당제 사이에서 큰 혼란을 겪고 있다고 전해진다.
  문재인 정부는 공공부분 블라인드 채용 의무화를 밝히고 모든 공공기관 지원서에 편견이 개입될 여지가 있는 지역 학력 경력과 자격증 등 이른바 스펙을 기재하지 못하도록 했다.
  평등한 기회, 공정한 과정을 통해 실력만으로 채용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공무원 공채 뿐 아니라 민간 기업에도 이를 권장했다. 민간기업들에서는 정부에 앞서 블라인드 채용이 많아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 같다.
  정부는 그러나, 전국 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들에는 그 지역 출신 인재를 30% 정도 뽑으라고 했다. 출신학교나 출신 지역을 밝혀야 가능해진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때 지역공약이었고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서 30% 수준이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했다.
  국정기획자문위원회도 새 정부 5개년 계획에 포함시켰다. 혁신도시법에 비록 강제가 아닌 권고사항으로 되어 있지만 이 때문에 사실상 명령이나 지시와 다름이 없게 됐다고 해야 할 것이다.
  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의 지역인재 채용은 혁신도시들에 따라 편차가 크나 상당 수준으로 실행이 되어왔다. 전북의 경우 13%대로 크게 저조하나 부산의 경우 30%대를 전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정부가 공공부분 블라인드 채용을 의무화해 이들 혁신도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을 그나마 어렵게 만든 것이다. 출신지역을 기재하지 못하게 해 지역출신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는데 어떻게 하라는 거냐는 것이다.
  전북 혁신도시는 더욱 난감하지 않을 수 없다. 12개 이전 공공기관 중 7개 기관이 농촌진흥청 등 국가기관, 즉 공무원이다. 그간에도 지역 출신 우선 채용 기준을 제대로 적용 못했다. 채용 비율 저조도 그 때문이기도 하다.
  혁신도시 공공기관들의 블라인드 채용 의무 배제나 지역인재 별도 채용 등의 방안이 논의된다고 한다. 그러나 두 방안 모두 그로인한 문제가 커 공공기관들 스스로는 선택이 불가하다고 알려져 있다. 정부가 결단해야 할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