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도시국가인 아테네는 민주주의 꽃이었다. 시민들은 정치적 힘과 법 앞에 평등이라는 권리를 충분히 누렸다. 그들에게는 정부를 비판하고 반대할 수 있는 정치적 자유가 부여돼 있었다. 민회는 그 중에서도 가장 돋보이는 제도였다. 주민들이 모여 정기적으로 집회를 갖고 누구나 제약 없이 법률을 제안하고 다수결로 통과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시민들이 직접적인 투표를 통해 직접 통치를 담당하는 것을 직접 민주주의라고 부른다. 시민들이 직접 개개 법률을 만들고 정부 정책을 결정하는 시스템이다. 이와는 대립된 개념으로 간접 민주주의 혹은 대의 민주주의가 있다. 국민들이 자신들의 대표를 뽑아 그들로 하여금 통치케 하는 것이다. 정부 정책에 대해 직접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하는 대신 대표자를 선출해 이들이 처리토록 한다.
  직접 민주주의는 그리스가 로마에 복속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이후 18세기에 이르러 다시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간접 민주주의가 자리 잡았고 이를 보완하는 차원서 직접 민주주의적 요소들이 가미됐다.
  간접 민주주의는 직접 민주주의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아테네의 경우 시민 숫자가 약 10만 명이었는데 그 가운데 시민권을 가진 사람은 불과 2만 명이었다. 또 시민권을 가진 사람 중에도 생계 문제라든가 정치적 무관심 때문에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도 다수 있었다. 국토가 작고 인구가 적은 나라에서만 통용될 수 있다는 것도 직접 민주주의의 약점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0일 ‘국민 인수위 대국민 보고회’에서 직접 민주주의를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문 대통령은 “이제 국민들은 주권자로서 평소 정치를 그냥 구경만 하고 있다가 선거 때 한 표를 행사하는 이런 간접 민주주의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렇게 한 결과 우리 정치가 이렇게 낙오됐다, 낙후됐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국민이 직접 민주주의를 요구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예로 촛불집회와 댓글을 통한 정치적 의사표시 등을 들었다.
  신 직접민주주의를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다. 고대 그리스 직접민주주의에 정보 통신기술이 결합돼 전자 투표를 통한 직접 민주주의 실현을 지칭하는 용어다. 모든 국민들이 일정 사이트에 일정 시간 접속해 투표하는 개념이다. 야당이 헌법과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무시라며 문 대통령의 직접 민주주의 발언에 대해 시비를 삼고 있지만 직접 민주주의를 갈구하는 것은 엄연한 현실인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