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로 우리나라도 여름이 길어지면서 폭염에 따른 가뭄이 상시화 되고 있다. 가뭄 이후 홍수 역시 반복되는 게 공식이 됐다. 이는 농어촌의 각종 피해로 이어지고, 전 국민적 피해로 확산된다. 지속되는 폭염과 국지성 호우는 농작물을 망쳐 농민에게만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 생활물가 상승을 불러 국민에게 피해를 주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 하락까지 자연재해 영향은 무시할 수 없는 게 확실하다. 특히, 그 동안의 물 관리 시스템이 변화된 기후에 대응하지 못한 이유로 최근의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도를 더해가고 있다. 어느 때 보다 효율적인 물 관리 시스템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정부는 상습 가뭄지역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용수원 개발을 중점 추진하는 내용의 가뭄대응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작물 재배체계 변경, 논 타작물 전환 등과 같은 구조적인 물 수요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상습 가뭄지역과 물이 풍부한 지역을 연결하는 '수계연결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저수지 준설 및 저수지 둑 높이기 사업 등 물그릇을 지속적으로 키우기로 했다. 간척지 및 물 상습 부족지역의 작물 재배방식도 다각화하는 등 물 부족 사태를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현재의 저수지나 용·배수로 등 농업기반 시설물의 상당부분이 토공이다 보니 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수를 위한 수로준설·수초제거를 관리하는 데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수자원의 누수와 집중호우 시 발생되는 붕괴와 유실로 인한 재해발생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 더 큰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 시설물의 규모나 여건을 현실적인 조건에 맞게 정비하고 보완해야 하는 게 맞다. 새로운 물 자원을 확보하는 것은 미래 농업 경쟁력 확보 및 국민 먹거리 확보 차원에서 다뤄야 할 사업이다. 아울러 체계적인 물 수요관리도 필요하다. 농업용수 부족지역을 중심으로 논 면적 감축을 추진하겠다는 게 농식품부의 계획이다. 전북지역 역시 물이 풍부한 곳과 부족한 곳이 갈리고 있다. 이는 쌀 생산조정제와도 연계된 정책이다. 최근의 쌀 가격 폭락 사태를 동시에 해결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동시에 작물 재배방식 다각화를 위한 내한·내염성 품종 개발·보급, 재배방식 다각화 등도 확산시켜야 할 농업방식이다. 아무래도 국민의 미래 식량 생산 체계가 효율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이 정부의 손에 달려있다 하겠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