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농생명산업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이같은 흐름에 맞춰 전북에 ‘수출형 첨단 농생명산업 밸리’가 조성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북은 농생명 R&D 연구기관이 집적돼 있고, 국가식품클러스터와 새만금 농생명용지가 위치해 ‘수출형 첨단 농생명산업 밸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도와 국회 4차산업혁명 포럼은 8일 전북혁신도시 농촌진흥청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실현’을 주제로 한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 기본구상’을 주제로 기조발제를 맡은 전북연구원 조승현 연구위원은 농생명산업 성공전략으로 ▲클러스터 ▲첨단기술 ▲협동조합을 꼽았다.
특히 선진농업클러스터, 식품클러스터는 혁신 R&D, 네트워크 강화, 전문인력 공급, 관련기업 집적 등의 클러스터 강화 정책을 추진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면서 농생명산업의 글로벌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클러스터 강화 정책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전북은 이미 식품·종자·ICT농기계·미생물·첨단농업 등 5개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는 만큼 농생명 연구와 ICT를 융합한 스마트농업으로 기술전환을 추진하고 수출지향적 농산업 육성 전략을 펴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농생명금융, 수출지원, 창업지원, 청년인력, 친환경 농자재산업, 유통물류 등의 부문에서의 약점을 보완해 궁극적으로 글로벌 스마트 농생명산업 강국에 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농어민 기본소득제 시범 도입 ▲농생명혁신 사회적 주택사업 추진 ▲전국단위 품목별 협동조합 육성 ▲연구장비·시설 공유위원회 설치 및 운영 등의 정책 사업을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SOC를 제외한 산업 총 수요는 3조8131억원으로 나타났다”면서 “이와 관련된 산업까지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생산수요는 8조4394억원, 고용유발 5만2174명, 부가가치유발효과 2조7678억원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토론회에 앞서 전북도, 국회 4차산업혁명포럼, 농촌진흥청은 ‘4차산업 플랫폼 및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구축’을 위한 상호업무협력 협약(MOU)를 체결했다.
주요협약 내용은 5개 클러스터 육성, 소프트웨어 경쟁력 강화, 미래형 신산업 육성, 융합형 인재양성, R&D분야 규제개선, 산업생태계 조성, 전문인력 양성 등에 상호 협력하는 것으로 향후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구축사업에 국회 차원의 예산확보와 중앙부처 정책반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지혜기자·kjhwjw@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