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일회용 생리대 제품의 안전성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저소득층 여성청소년들에 지원한 전북도와 도내 14개 시군의 생리대 보급 지원사업에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 보급된 생리대는 일단 회수된 상태지만 저소득층 청소년들의 경제적인 부담으로 대체품을 구매하기 어려운 실정에서 마땅한 대체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채 사업 중단으로 이어져 제2의 ‘깔창 생리대’ 사태가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도내 각 지자체에서는 만 11~18세 저소득층 여성청소년을 위한 생리대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도는 국비와 지방비 등 총 2억4000만원을 들여 지난해에 이어 올해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1만1000여명에게 6개월분의 생리대를 지난달부터 지급했다.

그러나 최근 깨끗한나라 ‘릴리안’으로 촉발된 생리대 안전성 논란이 다른 제품으로까지 확산되면서, 도내 14개 시군의 ‘생리대 지원 사업’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또 올해와 지난해에 보급된 일회용 생리대 회수절차도 완료했다. 회수물량은 지난해 군산시 등 6개 시군에 걸쳐 124세트(1만5068개)에 달했다.

다행히 올해는 사업비가 늦게 확보됨에 따라 군산과 고창, 부안, 진안 등 4개 시군 만이 사업을 우선 시행, 진안군에 지급된 52세트(936개)에 대한 회수절차를 마무리하고 보급된 생리대는 모두 회수됐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제2의 ‘깔창 생리대’ 사태가 재연되지 않도록 후속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안전성 논란으로 인해 회수 및 사업 중단도 좋지만 일회용 생리대에 대한 안전성 점검과정이 장기화될 가능성 커 대체 방안도 함께 내놔야 한다는 것이다.

식약처가 정확한 안전성 유무를 따지기 위해 휘발성 유기화합물 10종에 대한 전주조사를 이달 안에 마무리하고 나머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76종도 올해 말에 마무리함에 따라 최소 올 연말까지는 사업이 중단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현재 일회용 생리대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는 기준자체가 없어 안전성 검증을 정부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며 “정부의 방침이나 안전성 검사결과에 따라서 사업의 추진여부를 결정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