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조선소 가동중단으로 지역경제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가운데 도내 기업들이 타 시도로의 주소지 변경이 이어지고 있어 관리가 시급하다.

기업들의 이전은 지역 수출실적 감소와 지역경제성장률 하락 등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기업들과의 소통강화와 동향파악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2일 전북도 및 한국무역협회 전북본부 등에 따르면 그 동안 지역을 대표한 D사와 O사에 이어 최근에는 H사까지 사업자를 본사가 위치한 수도권으로 이전했다.

D사는 지난 2015년 11월 주력 생산품목인 라이신(사료에 첨가하는 필수 아미노산) 분야를 매각하면서 사업자를 서울로 변경했고 O사는 2016년 1월 본사의 방침에 따라 군산에 위치한 생산 공장의 사업자를 서울로 변경했다.

또 도내 유일한 인조섬유 수출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H사 역시 최근 사업자를 본사가 위치한 서울로 이전한 상태다.

이같이 지역에 연고를 두고 있던 기업들의 사업자 이전으로 전북지역 수출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실제 D사의 이전으로 도내 정밀화학원료 수출실적은 2015년 10억만불에서 지난해는 1억3700만불까지 급감했다.

H사도 수출관할지가 서울로 변경되면서 도내 ‘인조섬유’분야 수출실적이 제로(0)가 됐다. H사의 인조섬유 수출실적은 매달 1600만불에서 최대 2400만불까지 기록했다.

지역경제를 견인하던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에 이어 도내 대기업·중견기업들의 사업자 이전에 따른 수출실적 감소 등 각종 악재들이 겹치면서 수출기업들을 붙잡을 만한 지자체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방세 감소와 관련분야의 사업발굴 및 공공기관 유치 등 직간접적인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 전북본부 관계자는 “기업들의 수출관할지 변경이 없었다면 도내 수출실적이 5~10%정도는 성장했을 것”이라며 “이 같은 문제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수시로 동향을 파악하는 등 기업들과의 소통강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