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가축전염병 조기진화를 위해 조직개편 개선안을 내놨지만 그 전략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북의 가축방역인력은 전남과 충남, 충북 등과 비교해 낮은 실정이지만 가축방역 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내놓은 조직개편안으로 가용인력이 줄면서 방역체계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북도는 지난달 29일 ‘가축전염병 대응 전담부서 신설’을 담은 조직개편안을 입법 예고하고 그 동안 가축방역을 담당해 온 축산과를 ‘축산과’와 ‘방역위생과’로 나누기로 했다.

이는 담당부서의 업무과다를 줄여 효과적인 가축전염병 등에 대응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이에 축산과는 기존 1과 5팀 21명에서 2과 6팀 27명으로 조직이 개편되면서 가축방역업무는 방역위생과에서 전담하게 된다.

하지만 과가 두 개과로 나눠지면서 이에 따른 인력은 소폭 늘어나겠지만 적절한 인원증원 없이 조직이 개편되다 보니 가축방역공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북은 사실상 매년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하고 있으며 구제역과 브루셀라병, 결핵병, 뉴캣슬별 등 가축전염병이 상시적으로 출몰하는 지역이다.

때문에 AI와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한 조기진화가 절실한 상황에서 가용인력은 되레 줄어 방역체계에 구멍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과 동시에 타시도에서도 축산부서의 조직개편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의 가축방역 담당인력은 타 시도와 비교해 현저히 적은 실정이다.

강원도의 경우 1과 6팀(24명)에서 2과 8팀(31명)으로 늘어나고 충북은 1과 6팀(21명)에서 2과 8팀(28명), 충남은 1과 5팀(21명)에서 2과 8팀(28명) 등으로 늘어난다.

전남(29명)과 경북(30명), 경남(30명) 등 대부분의 지자체에서도 전북보다 많은 인력을 확충해 배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가축방역 체계개선이라는 조직개편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라도 조직개편안의 재검토를 통해 가축전염병 발생이 적은 타시도 수준의 인력배정을 절실히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