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 쌀 생산량이 37년 만에 400만 톤 아래로 떨어져 396만 톤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다. 극심한 이상 기후로 355만 톤에 그쳤던 1980년 이후 최저 생산량이다. 2009년 492만 톤에 비해서는 무려 100만 톤 가까이 줄었다.
  곡창 전북의 생산량도 전국 추세대로 줄어들어왔다. 올해 예상량이 64만8천 톤으로 전년 68만7천 톤에서 5.7%나 줄 것으로 전망된다고 한다. 재배면적이 줄었고 단위 면적당 생산량도 줄어든 데 따른 것이다. 생산성마저 떨어진 것이다.
  생산량이 줄면 값이 오르는 게 정상이다. 특히 소비 탄력성이 적은 농산물은 더욱 그렇다. 그런데도 쌀값은 생산량 증감에 관계없이 떨어져만 왔다. 마침내는 산지 쌀값이 30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쌀 생산량이 또 줄어들 게 분명해지는 올해도 쌀값이 회복될 가망은 사실상 전혀 없을 것 같다. 쌀 소비가 갑자기 늘어날 가능성이 없는데다 그간 남아돈 쌀 재고량이 산더미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더 떨어지지만 않아도 다행일 지경이다.
  수확기가 다가서고 정부의 공공비축미 수매가 시작되면 해마다 그래왔듯이 올해도 전국서 쌀 생산농가들의 절규가 필연일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수매가를 올려주고 수매량을 크게 늘려달라는 아우성이다.
  농민들로서는 사실상 퇴로가 없다. 쌀농사 외에 이를 대체할 다른 길이 없기 때문이다. 쌀값이 떨어져도, 심지어는 생산비마저 제대로 건지지 못해도 쌀농사를 지어 정부의 수매정책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게 쌀 농가들의 처지다.
  그런데도 정부마저 쌀 수매정책이 한계에 부딪쳐 있는 게 현실이다. 우선 국민식생활 변화에 따른 쌀 소비 감소를 막을 길이 없다. 1990년 119.6kg이었던 1인당 소비량이 2017년 59.6kg으로 절반밖에 안 된다. 쌀이 남아돌 수밖에 없다. 정부 양곡 보관소 재고량이 350만 톤으로 한해 생산량 규모다. 쌀값 폭락을 피할 길이 없다.
   오늘의 쌀 산업 진퇴양란은 역대 정부의 무정견과 무책임서 비롯된 것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생산량 조정 등 보다 근본적인 대책 없이 정부수매 단일정책으로 그때마다 미봉으로 급급해온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새 정부의 쌀 산업 대책이 주목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