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만경강서 수거한 야생조류서 또 조류인플루엔자(AI) 항원이 검출됐다. 전북도는 이번 AI거 저병원성으로 확인됨에 따라 반경 10km안의 가금류 사육농가들에 이동제한 명령을 해제했다. 일대는 모두 792농가가 210만9천여 마리를 사육하는 가금류 사육농가 밀집지대다.
  전북도는 지난 추석을 전후해 무주 인접 경북 영천의 야생조류 분변서 고병원성 AI항원 발견을 계기로 비상방역체계 가동에 들어갔다고 알려져 있다. 주요 철새도래지와 축사 밀집지역에 소독 등 선제적 방역에 나섰다고 한다.
  AI 등 가축전염병은 겨울 문턱의 11월에 발생해 다음해 4월 늦봄까지 이어지는 게 통상이었다. 해를 걸러 2~3년 주기로 발생하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통상과 달리 시도 때도 없이, 해도 거르지 않고 발병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때문에 일단 발생하면 재앙 수준의 대규모 피해를 안겨온 가축전염병이 이미 토착화된 게 아닐까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국내 축산을 아예 포기하고 육류 전량을 해외수입에 의존키로 하지 않는 한, 보다 근본적인 가축전염병 근절대책이 절실한 까닭이다.
  그런데도 축산 당국은 전염병이 발생하면 이동제한-대규모 소독-발생지역 일정 범위 내 가축의 무차별 대량 살 처분 매몰과 피해 국가보상을 반복해왔다. 가축전염병 대책이 달라진 게 없다. 가축전염병 예방법과 매뉴얼도 그대로다.
  2010년대 들어서 반복된 가축전염병 피해는 재앙 수준이다. 국회 농림축산위 국감자료가 살 처분된 가축수가 750여만 마리에 보상비가 국비 2조2천억, 지방비 1천억 원으로 밝혔다. 방역관리비 1천억까지 총 2조4천억 원 규모다. 천문학적이다.
  AI와 구제역 등 재앙 수준 가축전염병의 반복이 우리나라 축산의 밀집축사 밀식사육서 비롯되고 있음은 정부도 농가도 다 알고 있다. 그런데도 근원적 대책의 강구 없이 축산 재앙을 연례생사로 반복한다. 국가예산을 낭비하고 있다.
  그간 피해 보상비만큼만 집중 투입한다면 밀집축사 밀식사육을 해소해 일본 수준 복지축산의 실현도 가능하리라 믿는다. AI 계절에 정부의 근원적인 대책을 촉구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