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대학교가 총장 후보자 추천 선거를 앞두고 교수 교직원 학생 등 대학 구성원 사이 선거 참여비율을 두고 갈등이 거듭되고 있어 선거 실시조차 불투명해지는 것으로 전해진다.
  갈등은 교수회가 구성원의 선거참여 비율을 압도적 교수 중심으로 가려하는데 대해 교직원 학생들이 극력 반발하는데서 빚어지고 있다고 들린다. 8월 이후 12차례 협상에도 해소되지 못해 2주 뒤 선거 공고가 의문시된다는 것이다.
  국립대학 총장은 대통령이 임명한다. 그런데 민주화 후 대학 구성원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한 총장 후보자를 대통령이 그대로 임명만 해주는 이른바 총장 직선제가 대세가 되어왔다. 대통령 임명권이 형해화 된 것이다.
  총장 직선제가 시행되면서 나름의 장점과 타당성에 관계없이 유발된 부작용이 심각했고 심지어 대학사회를 황폐화시켰다는 비판마저 없지 않았다. 총장 선거도 선거인만큼 정치판 선거가 갖는 폐해와 부작용이 고스란히 옮겨진 때문이다.
  가장 두드러진 폐해가 대학사회의 분열과 갈등이었다. 복수의 총장 후보 출마자가 선거 캠프를 차려 지지자 확산을 위한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정치판 선거와 다름없이 분열과 갈등이 야기된다. 유권자가 방대한 정치판과 달리 수백 수천의 제한된 대학사회여서 폐해는 더 컸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에 버금하는 폐해가 선거 후 대학에 미친 부작용이다. 정치판과 다름없이 승자독식 보직인사로 파벌이 생기고 논공행상을 위한 조직 기구의 확장으로 대학재정에 부담이 커졌다.
  그 때문에 사립대학들은 앞서 직선제 대신 임명제 본연으로 돌아섰다. 뒤따라 앞선 정부가 일부 반발에도 불구하고 후보자 공모추천제로 바꿔 직선제를 폐지했다. 그런데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공모추천제와 함께 선거추천제를 부활시켜 대학의 선택에 맡겼다.
  대학구성원들이 선거방식으로 총장 후보자를 뽑아 임명권자인 대통령에 추천하는 제도 자체가 나쁠 게 없다. 선거가 안고 있는 생태적인 폐해가 문제일 따름이다.
  군산대학교가 선거도 전에 구성원들 간 참여 비율을 두고 빚는 갈등에서 분열이 시작되고 선거운동이 본격화되면 후보와 지지세력 간으로 확산되어 폐해가 다시 확대재생산 되지 않을까 우려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