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드디어 ‘다울마당’을 재정비할 계획이라고 한다. 시는 부서별로 운영되는 다울마당에 대한 평가를 실시해 존폐 여부와 개선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전주시가 민선 6기를 맞아 야심차게 추진한 민관협력 거버넌스 사업인 다울마당은 사업 초기부터 기대반 우려반의 시선을 받았다. ‘다함께 우리 모두 지혜를 모으는 마당’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다울마당은 현안 문제를 행정의 일방 독주 대신 민관거버넌스로 풀어낸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점수는 그리 높지 않다. 가장 많이 지적받는 것은 너무 많다는 점이다. 다울마당 수가 30개를 훌쩍 넘는 사실은 남발이라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전주시가 추진하는 사업의 대부분이 다울마당을 거친다는 것으로도 이해돼 선뜻 납득하기 어렵다. 이렇다보니 전주시가 시민들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취합해 정책에 반영한다는 입장보다 만약에 불거질 시비에 대비해 방어수단으로 다울마당을 내세운다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
  구성된 다울마당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는다는 것도 문제다. 지난달 기준으로 32개 사업 중 11개 사업은 단 한 번도 열리지 않았고 열린 다울마당도 평균 2.6회에 그쳤다는 것이다. 민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해 구성했다는 다울마당이 열리지 않거나 형식적으로 2~3차례 열고 마는 현실은 비판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나마 다울마당을 통해 결과가 도출된 ‘혁신동 행정구역 편입결정’ 사안이 주민투표에 의해 뒤집어진 사례도 있었다. 다울마당에 대한 시민의 신뢰가 결정타를 입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밖에 회의내용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는 점, 다울마당 참여 위원의 과다한 중복 참여, 특정과에 집중된 점 등도 비판을 받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위원회'의 경우는 다울마당의 운영에 참고가 될 만하다. 대통령 공약이행과 관련해서 위원회를 단순히 면피용을 넘어 정책 방향을 결정하도록한 방침은 다울마당이 지향해 나가야 방향이다. 공론화위원회는 89일 동안 총 67번의 회의와 간담회를 거쳤다. 다울마당도 1~2개 정도의 핵심사안을 깊이 있게 다루는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 위원회에 충분한 시간과 권한을 주고 결정을 최대한 수용하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시민들의 신뢰도 얻는다. 전주시의 발상전환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