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한반도 사드 배치가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해친다며 중국이 한국에 경제 문화적 보복에 나서면서 야기된 양국 간 갈등이 1년 4개월여 만에 해빙의 길로 들어선 것 같다.
  두 나라 외교부가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 간 협의 결과’를 담은 합의문에 ‘교류협력 강화가 양측의 공동이익에 부합 된다’며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 발전궤도로 회복시켜 나가기로 했다’고 했다.
  당장 다음 달 초 베트남 APEC 정상회담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 열리게 된다.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과 시 주석의 평창 동계올림픽 때 한국 방문이 기대되고 있다. 양국 관계에 훈풍이 예고되고 있다.
  양국 간 갈등이 풀리고 정상적인 교류협력으로 되돌아가는 것은 다행이고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로 야기된 한반도 전쟁 위기의 해소를 위한 서로의 정치 군사적 협력 요구가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여서 더욱 그렇다. 
  그러나 그간의 한.중 갈등과 교류협력의 경색이 한국의 정당한 군사안보 주권 행사에 대한 중국의 부당한 간섭에서 비롯됐었다. 중국이 우월적 시장 지위를 발판으로 일방적인 무역 보복과 중국 진출 한국 기업 핍박은 물론 금한령(禁韓令)으로 관광 문화에 이르기까지 정상적인 교류 협력을 막아왔다.
  중국의 가해로 한국이 피해를 입었다. 한국은 이를 밝히지 않고 있으나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원장이 한국 피해를 13조5천억 원 규모로 파악한 것으로 전해진다.
  합의에 앞서 한국이 사드 추가 배치 부인, 미국 MD 불참, 한미일 군사동맹 부정 등 스스로 군사주권을 제약할 위험이 없지 않은 시사로 중국에 뒷날 빌미가 되지 않을까 해 유감이 아닐 수 없다. 
  중국의 손실도 결코 적은 게 아니었다 할 것이다. 사드 보복 과정에서 중국이 세계 2위 경제대국이긴 하나 자국의 이해나 정치적 이유로 국제무역 규범과 질서를 쉽게 짓밟는 2류 국가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냈다. 중국에도 두고두고 부담이 될 것이다.
  사드 갈등 해소에 우선 안도하게 되나 걸핏하면 힘으로 약한 나라를 겁박하는 중국의 참 모습은 새겨두고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