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2018년은 전라도 정도 1,000년이다.
  고려가 현종 9년인 1018년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주 일원의 강남도와 나주 일원의 해양도를 합치고 전주와 나주의 첫 글자를 따서 전라도(全羅道)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정도 1,000년을 앞두고 전라도 정신의 체계화를 시도한 책이 출판됐다.
  이춘구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수는 <신바람나는 전라도 정신>(전북대학교 출판문화원)에서 전라도 정신을 방정원융(方正圓融)의 창조적 도전정신으로 규정하고, 이를 신바람나게 실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방정은 네모 반듯하면서도 하나로 모이는 방정회통(方正會通)으로 전라도의 선비정신, 절의정신을 가리킨다. 원융은 원만구족하면서도 걸림이 없는 자유자재의 원융무애(圓融無碍)로 전라도의 풍류사상, 대동정신을 가리킨다. 또한 끊임없이 도전하고 개척하며 결국 유용한 가치를 창조해내는 정신을 전라도 정신으로 정립하고 있다.
  저자는 전라도 정신이 대한민국 정신의 원형질인 풍류사상에서 비롯되며,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를 실천하는 길로서 분석한다. 정도전이 전라도를 풍전세류(風前細柳)라고 폄하하는 것을 역설적으로 우리 고유의 풍류로 해석하는 적극적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전라도의 풍류는 우리 고유의 천지인 삼신사상과 미륵신앙, 메시아 신앙으로 구체화하며, 예술의 발달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또 백제시대와 조선시대가 전라도 정신의 벼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깊게 접근하고 있다. 익산의 왕궁과 미륵사지 등 유적지를 찾아 백제정신의 형성과 발현, 백제정신에 대한 도전 즉 신라와 당 나라 연합군에 의한 패전과 부흥전쟁 그리고 견훤백제에 의한 계승의 역사 속에서 전라도 정신을 살피려고 했다. 소서노로 상징되는 위대한 도전과 개척정신, 개방적인 해양문화, 도시국가연합으로서 평화연대와 저항정신, 창조적 정신이 백제정신의 정수이다. 전라도에 대한 차별은 백제의 패전 이후 비롯된 것으로 보고, 그 치유방법을 제시하려고 한다.
  경기전과 전라감영 등 조선의 역사유적 현장에서 조선시대에 형성된 전라도 정신을 분석한다. 조선 창업 전의 역사적 순간 즉 전주 오목대에서 이성계와 정몽주의 갈등구도가 전라도 정신의 축이라고 본다. 태조를 통한 새로운 창업의 정신과 포은을 통한 저항과 절의 정신이 그것이다. 전라도는 조선의 근본이 되는 땅으로서 나라가 어려울 때마다 온 몸을 던져 나라를 구하고자 했다. 또 동학혁명을 통해 대동세상을 구현하고자 한다.
  『신바람나는 전라도 정신』은 역사를 이어오고 전라도 정신을 낳게 한 지정학적 조건들에 대해서도 천착한다. 오늘날 전라도 정신을 잉태한 전라도의 산과 강, 호수, 들의 기를 살펴본다.
  현대로 들어서서 견훤백제 왕궁 터에서 안빈낙도하는 민초들의 삶을 통해 전라도 정신의 내면을 살피려고 한다. 견훤백제 왕궁 터를 모티브로 잡은 것은 이 지역이 재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 견훤백제의 정신을 선양하고자 하는데 있다. 전라도, 전주가 견훤백제의 왕도라고 하면서 그 왕도의 중심인 유적지를 훼손하려는 것은 우리 자신을 부정하고, 그 근본을 철저히 훼손하려는 것과 다름이 없다. 견훤백제 왕궁 터에서 펼쳐지는 일상을 사례로 들어 전라도 정신의 바탕을 천착하려고 한다.  
  저자는 KBS기자로서 일할 때 전라북도 내 역사유적 현장을 찾아다녔다. <신바람나는 전라도 정신>은 저자의 저널리즘적 시각과 아카데미즘적 시각이 교차하면서 시간과 공간의 변화 속에 도전하고 창조해나가는 전라도 인의 치열한 삶과 그 속에서 구현되는 전라도 정신을 담았다.
  저자는 전북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30년 동안 KBS 기자로 취재현장을 누비며, 대한민국의 역사바로세우기에 노력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전라일보에 매주 월요일 창작 한시를 연재하고 있다. 판소리의 형성 과정을 추적해 한국방송대상을 받고, KBS 모스크바 지국장 시절 우리 문화를 러시아에 선양한 것을 계기로 원불교 문화대상 그리고 언론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소충문화상 등을 받았다.
  저서로는 한시집 <모란꽃 동행>, <경제 민주화: 자유와 평등의 조화>, <지리산 빨치산의 참회록: 어머니 고향 그리고 조국>, <사상의 자유시장 이론: 주권의 형성과 실천의 장>, <완산골 선비의 국가개조론: 수졸재 류화의 철학과 경세지략 3권>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