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 지자체들에 가축전염병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수의직 공무원을 증원해 인력을 확충토록 했다. AI와 구제역 등 막대한 축산 피해가 반복되어온 겨울철 가축전염병 대응체제 강화를 위해서다.
  그러나 정부의 대응체제 강화가 조직 개편은 진전되고 있으나 인력 충원에서 근본부터 헛돌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공무원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서도 수의직 공무원 지원자가 부족해 인력 확충이 벽에 부딪친 것이다.
  국회 농림축산위 자료가 전국 지자체들의 가축방역관이 660명으로 적정 인원 1천280명의 절반 수준이라고 밝혔다. 전북도도 적정 인원 50명의 26% 13명에 불과하다. 공무원이 넘쳐나는데도 기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정부가 통보한 증원 인력은 350명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채용 대상 전국 104개 지자체 중 54개 지자체서 지원자가 미달했고 33개 지자체서는 아예 지원자 자체가 없었다고 전해진다. 전북에서도 지원자 미달이 6곳, 한명도 없는 곳이 5곳으로 증원 불발이 11곳에 이른다.
  지금 공무원 채용 시험장은 격심한 경쟁률로 이상 과열현상을 빚고 있다. 극심한 취업난 시대에 공무원이야말로 신이 내린 직업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 가운데서 가축방역관 응시자 미달이나 전무 현상은 우리 축산행정체제에 근본부터 구멍이 뚫려 있음을 그대로 말해주고 있다.
  해마다 천문학적인 피해가 거듭되고 있는데도 가축전염병 발생 근절은커녕 감소조차 시키지 못한 채 대량 살 처분과 매몰을 반복하는 전근대적 한국 축산의 현주소도 여기서 비롯되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가축방역관에도 기본적 처우와 신분보장 등에서 다른 직종 공무원들과 다를 리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기피 대상이 된 것은 과중한 업무와 7급으로 채용된 뒤 6급으로 끝나게 되는 승진 불이익 등이 결정적인 이유라고 알려지고 있다.
  가축방역관에 대한 획기적 처우 개선이 없는 한, 조직 일부 개편만으로는 우리 축산업의 후진성 탈피는 불가능할 것으로 믿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