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오리농장을 대상으로 ‘사육휴식제’에 대한 도입이 검토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두고 제도 도입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AI 확산을 막기 위해 제도 도입과 확대는 필요하나 지나친 확대는 오리산업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전반적인 여건을 고려해 확대범위를 조절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1일 전북도에 따르면 도내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대상농가를 조사한 결과 고창군을 비롯해 군산, 김제, 부안 등 60여농가에서 ‘사육휴식제’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내 상시 사육농가 수는 130농가로 이는 오리농가의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다.

앞서 지난 20일 전북도청을 방문한 김영록 농림부 장관은 휴식제 확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바 있다.

휴식제를 희망하는 도내 농가 대부분은 철새이동 경로인 서해안지역에 위치하거나 동림저수지와 같은 철새도래지 주변, 시군의 판단에 따른 발생가능성이 잔존하는 농가 등이다.

특히 최근 고창 육용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하는 등 주변여건을 감안한다면 휴식제 확대와 함께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휴식제가 도입된다면 이들 오리농가들은 다음달부터 내년 3월까지 오리사육이 전면 중단된다. 농가에게는 오리를 사육하지 않으면 일정 금액을 보전(손실보상금)해준다.

하지만 도내 오리생산량이 4개월동안 멈추면서 생산량 감소로 인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새끼오리를 공급하는 부화장이나, 오리농장에 사료를 납품하는 사료공장, 오리 유통업체 등 관련산업들에 미칠 영향 때문이다.

올해 충북은 AI 발생·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오리 사육 휴지기제’를 도입, 오리사육 농가 153곳 중 107곳(보상휴지 72곳+기타 35곳)에서 오리 사육 휴지기제를 실시하고 있다.

때문에 휴식제 확대와 함께 전국적으로 오리생산량이 급감할 수 있어 관련 산업들의 타격과 함께 오리가격 상승 등 각종 부작용들이 동반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따라서 AI 차단을 위해 제도 도입 및 확대 방안에 대해 신중히 검토해 볼 필요는 있으나 여러 가지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세부적인 방안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