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가 날아들자 올해도 어김없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했다.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고 가금류업계와 유통업계까지 긴장과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AI가 확산되면 필연적으로 대량 살 처분이 행해져 가금류 축산업계가 1차적으로 대규모 피해를 입는다. 뒤이어 심리적 AI 공포로 닭오리고기 소비가 격감하면서 가공 및 유통업계에 더 큰 피해를 안기게 된다.
  이번에도 유명 철새도래지면서 상습 AI 진원지기이기도 한 고창 동림저수지 인근 농가서 최초로 발생했다. 병원체가 지난해 대규모 가금류 살 처분 피해를 남긴 H5N6형 바이러스로 판명됐다. 상습 발생지역인 전남북과 충남 등 이른바 AI 서해안벨트에 긴장이 확대되고 있다.
  방역당국이 즉각적인 차단방역에 나서 AI가 발생한 농가의 오리 1만2천여 마리를 살 처분 매몰했다. 반경 10km내는 물론 전국적인 일시 이동중지 명령도 내렸다. 대대적인 소독이 실시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올해 AI가 어디까지 확대되고 과연 얼마나 큰 피해를 남기게 될는지는 두고 보아야 할 일이다. 그러나 AI의 발생과 확대 과정은 물론 방역당국의 차단방역 등에 하나도 변하거나 발전된 게 없어 예년과 다를 게 없이 축산피해가 반복되지 않을까 싶다.
  2000년에 구제역이, 2003년에 AI가 최초로 발병해 처음에는 2~3년 주기로, 최근에는 토착화된 게 아닐까 의문이 들 정도로 해마다 가축 전염병이 발생해 재앙 수준의 대규모 피해가 거듭돼 왔다.
  그간 AI의 가금류 피해 보상금과 생계지원금 방역비 등으로 지출된 정부 재정이 1조원에 이르고 구제역의 우제류 피해 보상 등으로 인한 정부 재정 지출이 3조4천억 원으로 알려졌다. 천문학적 규모로 재앙 수준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도 정부는 대규모 피해 발생의 근원적 원인인 밀집축산 밀식사육에 대한 근원적인 대책은 소홀하면서 발생 후 대량 살 처분 매몰과 대규모 보상만을 되풀이 반복하고 있다.
  올해도 방역당국의 AI 대처에 달라진 게 전혀 없다. 철새가 떠나고 기온이 높아져 AI가 제물에 소멸될 때까지 축산재앙의 반복이 불가피할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