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농가의 농업규모가 타시도에 비해 작게 나타나고 있어 농업 규모화를 위한 정책 집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영세고령농가 비율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책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전북지역의 농가수는 10만 가구로, 경북(18만5,000 가구), 전남(15만 가구), 충남(13만2,000 가구), 경남(13만1,000 가구), 경기(12만7,000 가구)보다는 적지만, 전국 구성비로 따지면 9.2%를 차지한다.
이는 전북의 인구비율 3.6%(183만3,000명)에 비하면 3배 가까운 수치로, 전북이 여전히 농업에 치우진 산업구조를 갖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2016년 전국의 농협이 판매한 농축산물 판매액을 보면 총 26조8,600억원 중 전북은 2조4,300억원(9.0%)으로, 경북(4조4,800억원), 경기(3조5,000억원), 전남(3조2,900억원), 경남(3조2,900억원), 충남(3조2,300억원)보다 적다.
통계청 및 농촌진흥청,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서는 현재 지역별 농업규모 및 매출규모 등 농업경제통계를 갖추지 않아 그나마 농협 통계가 지역농산물 판매 규모를 대신하고 있다.
그런데 전북지역 농협이 농축산물 판매액 전국비율 9.0%를 차지한 것은 전북농협의 '농산물 판매 연합사업'의 실적에 힘입은 바 크다.
지난해 전북농협의 원예농산물 통합마케팅이 3,000억원을 넘어서며 원예사업 규모가 3배 이상 큰 경북 다음을 차지하는 등 연합사업의 실적은 주목할만 하다.    하지만 원예사업을 제외한 나머지 농외사업 실적은 전국 하위권의 크게 저조한 수익구조를 갖고있다.
결론적으로, 전국의 9.2% 가구수를 차지하는 전북지역 농가들이 연합사업 실적에 크게 영향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액 9.0%를 간신히 달성한 것은 그만큼 농가 평균 규모가 영세함을 보여준다.
또한 타도에 비해 영농 규모가 작고, 자산대비 부채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소득규모 역시 적게 나타나는 등의 통계청 조사를 다시 한 번 확인시켜주기도 한다.
이와 함께 전북은 전남과 함께 농촌고령화가 심각한 지역이며, 고령농들의 농업 규모가 1차산업에만 머무르면서 상대적으로 규모 또한 작게 나타나는 등 영세고령농가 문제도 시급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농정포커스'를 통해 농촌 간 농업부분 소득격차가 커지면서 농가 간 불평등 역시 커지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결국, 전북도 및 자치단체는 도내 농가의 농업 규모화에 좀 더 집중하면서, 아울러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영세고령농가들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쪽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도내 지역농협 조합장 A씨는 "도내 고령화된 전업농들은 규모 및 매출의 한계에 막혀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청년농업인들은 규모의 농업을 실현하기 어려워 하는 등 농도 전북에서 농업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다"면서 "지자체는 관련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각각 맞춤형 농정을 펼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