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도내에서 ‘땅밀림’ 현상이 발생한 지역을 수십 년째 방치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땅밀림의 대표적인 현상은 토사붕괴와 균열 등으로 복구가 이뤄지지 않고 방치된 상태에서 집중호우가 내리면 일반 산사태보다 수십 배 큰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17일 전북도 및 산림청 등에 따르면 지난 1984년 충남 논산에서 땅밀림 현상이 발견된 이후 지난해까지 전국 28곳에서 땅밀림이 발생했고 이중 23개소는 땅밀림이 복구됐다.

그러나 전북 완주(1995년 발생), 강원 정선(2010년 발생), 경남 합천(2012년 발생), 경남 하동(2015년 발생), 경북 울진(2016년 발생) 등 5개소는 아직도 복구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완주군 봉동읍 장구리 야산에서 발생한 땅밀림의 면적은 25㏊로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땅밀림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크다.

때문에 땅밀림이 발생한 이 곳은 표층에서 붕괴나 균열이 잇따라 나타나고 있다. 지난 2007년 봉동읍 야산 3곳의 표층에서 붕괴가 발생했고 2015년에는 7곳에서 표층 붕괴가 나타났다. 이 야산에서는 2013년과 2016년 대규모의 균열도 확인됐다.

하지만 산림청과 해당 지자체에서는 예산 부족 등을 이유로 복구공사를 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있다.

지난해 4월 일본 구마모토 지진 당시 구마모토현 아소 지방에서 땅밀림에 의한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해 큰 피해로 이어지기도 했다.

따라서 지진이나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대규모 산사태 등 2차 재해의 우려가 높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내 한 사방공학전문가는 “땅밀림을 방치할 경우 산사태와 같은 2차 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신속한 복구 공사가 필요하다”며 “정부와 해당 지자체는 이들 지역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대책 마련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