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6기 전북도 핵심공약인 삼락농정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농업을 앞세운 전북은 농도(農道)라는 수식어가 무색하게 농업소득이 전국 평균조차 밑돌아 왔지만 지난해 농업소득이 최초로 전국평균을 넘어서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4년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19일 도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농업소득은 1122만원으로 삼락농정 시행 전인 2013년 대비 42%가 증가하며 광역도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농업소득은 농가가 농업생산활동의 결과로 얻은 총수입에서 농업경영비를 차감한 금액으로 순수하게 농민들이 농업활동을 통해 수확한 결과물이다.

그러나 전북의 농업소득은 농업을 앞세운 농도에 걸맞지 않게 전국 평균보다 한참을 밑돌아 왔다. 실제 민선 6기 출범 이전인 지난 2013년 도내 농업소득은 연간 789만원으로 전국 평균 1003만원에 비해 214만원이나 낮았다.

이에 민선 6기 송하진호는 ‘제값 받는 농업’을 전면에 내세우며 ‘삼락농정’ 정책을 펼쳤다. 도는 농촌지역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해 생산시설현대화를 추진하고 로컬푸드 등 산지유통구조 개선, 농산물 최저가격 보장제, 농번기 공동급식 등을 운영했다.

특히 대선과정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첫 번째 전북 공약인 ‘아시아 스마트 농생명 밸리 조성’을 포함시켰다. 전북의 강점인 종자(김제)와 식품(익산), 미생물(정읍, 순창), ICT농기계(김제), 첨단농업(새만금)을 연계시켜 농생명 수도로써의 성장 동력을 마련하며 전북농업의 미래를 제시했다.

이 같은 다양한 정책 반영으로 소득이 낮은 논벼는 감소하고, 소득이 높은 채소와 과수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이 늘어나는 농업구조에 변화가 일었다.

실제 논벼를 경작하는 도내 농업인의 비율이 2010년 56.3%에서 2015년 52%까지 감소한 반면, 채소(15.9%→17.3%)와 특용작물(2.5%→3.4%), 과수(8.3%→8.9%) 등은 증가했다.

전북의 농업구조가 개선되자 농업소득 증가라는 즉각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2013년 789만원이던 농업 소득은 민선 6기 출범 이후 2014년 974만원, 2015년 985만원, 2016년 1122만원 등 4년 연속 상승세를 유지하며 전국 평균을 넘어섰다.

도 관계자는 “4년 연속 농업소득이 증가세를 유지한데다 지난해 전국평균 농업소득까지 뛰어 넘은 것은 전북도가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삼락농정’의 가시적인 성과”라며 “앞으로도 도민이 체감하는 삼락농정 실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