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구조개선을 통해 농가 소득이 늘었다는 전북도 발표가 있었다. 최근 전북도는 지난 2013년 연간 789만원 수준이던 농업소득이 지난해엔 1122만원으로 3년 만에 42%가 늘었다고 밝혔다. 광역도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이라 한다. ‘제 값 받는 농업’ 정책을 통해 농도전북에서 생산된 우수한 농산물이 타지 산으로 둔갑되거나 싼 가격에 거래되지 않도록 행정적 차원의 지도와 홍보가 적지 않은 도움이 됐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특히 다양한 농업 정책적 변화를 통한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논벼 재배 감소를 유도하는 대신 부가가치와 생산성, 소득증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채소나 과수, 특용작물의 재배가 매년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이 농사소득을 높이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도는 분석했다. 실제 지난 2010년 도내 농업인의 56.3%가 논벼를 경작했으나 2015년엔 52%로 감소한데 반해 이들 3대 농작물 재배농가는 각각 1~2% 늘었다. 3년 전 전국평균 소득(1003만원)에도 미치지 못할 만큼 생산성이 낮았던 도내 농가소득이 괄목할 만 하게 늘어난데 대한 다양한 분석이 있을 수 있겠지만 도는 농업구조조정과 제값받기 결과로 해석하면서 향후 생산시설 현대화추진, 로컬 푸드 활성화, 농산물최저가격보상제 등을 지속적으로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농도전북이란 수식어가 무색하게 빈곤과 낙후, 저생산성의 대표산업으로 분류되며 전반적인 산업구조 개편이 없는 한 전북경제가 재도약하는데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지적을 받아왔던 농업이 소득이 늘며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케 했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하지만 단순한 통계치 에 의존한 소득증대결과를 가지고 전북농업미래 청사진을 그리기엔 너무 성급한 것도 사실이다. 그동안 전북농산업이 지나치게 저평가되면서 받은 불이익이 이제 제자리를 잡아가는 자연스런 과정일수도 있고 소비자들의 우리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데 따른 당연한 결과일수도 있기 때문이다.
좀 더 면밀한 분석과 체계적이면서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전북농업미래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소득이 늘었다면 이를 체감하는 것은 농민이 되어야 한다. 행정기관의 각종 수치발표를 남의 일처럼 치부하는 건 그만큼 체감과 발표가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지금 농가들은 1년전 보다는 그대로 지낼 만 하다는 소박한 바람만이라도 현실이 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