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에서 25개월째 아기울음소리가 줄고 있어 저출산의 고리를 끊지 못할 경우 몇 년 후면 전라북도가 사라질 것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전북 10월 출생아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1.5%감소한 900명에 불과했고, 올 10월 누적된 출생아 수도 모두 9700명으로 전년 동기간 누계비 11.8%나 감소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도내 출생아 수는 1만명을 간신히 넘을 것으로 보인다.
전북은 전국에서 과소마을이 가장 많아 2~3년 후면 우리의 고향이 사라지게 된다. 출산율이 해마다 하락하면 마을이 사라지고, 점차 면과 읍이 사라지면서 농촌 중심의 군 지역부터 사라질 것이다.
도내 군 지역과 함께 남원시, 김제시 등 소도시 소멸론은 이미 언론이나 학계에서 경고음을 보내고 있다. 전북인구는 지난 10월말 기준 185만여명으로 이미 200만명이 깨진지 오래고, 저출산율을 보면 다시 회복할 기미는 없다.
이런 경고에서도 도내 단체장들은 저출산 정책에 한계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도내 14개 시군 뿐 아니라 전국 지자체들이 인구유입 정책에 사활을 걸고 있다.
역대 정부가 200조원을 쏟아부은 저출산 대책은 실패로 끝났다. 도내 단체장들은 정부도 못하는 일을 우리가 무슨 수로 할 수 있느냐고 항변하고 있다.
도내 단체장과 교육감, 의원 등 도내 선출직들이 저출산에 대해 머리를 맞대 본적이 있는지 묻고 싶다. 저출산은 단체장의 문제만이 아닌 교육, 경제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좋은 일자리가 없다보니 저임금 노동자로 전락하는 우리의 아들딸들이 결혼을 할 수나 있겠나.
아이를 낳아도 교육여건이 열악해 농촌을 떠나 도시로 이동하고, 좋은 일자리를 찾아 수도권으로 떠나는 것 아닌가. 내년 지방선거에서 가장 큰 이슈는 저출산과 저성장, 고령화에 따른 대안 및 정책이 될 것이 분명하다.
옆 동네 사람, 우리 동네에 주소 이전시키는 열정이 있다면 농촌과 어촌, 산촌에서 돈을 벌 수 있고, 문화와 교육도 걱정하지 않도록 정책을 만드는데 쏟아라. 특히 이제부터 아이 키우는 일에 단체장 명운을 걸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