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최저임금이 시급 7530원으로 인상되면서 도내 예비 창업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창업시 유지비용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인건비가 폭증하는 등 예비 창업자들의 손익계산에 큰 변수가 생겨났기 때문이다.

특히 산업기반이 열악해 자영업의 비중이 다른 시·도보다 높은 전북지역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창업리스크가 커져 결국 자영업 시장의 진입을 크게 위축 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10월 수도권에서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올 2월경 (전주시에서) 초밥 전문점 창업을 준비 중인 배 모씨(29)는 “처음이라 알바를 두고 시작하려고 했지만, 초반 매출이 얼마나 될지 몰라 그냥 친동생한테 잠깐 도와 달라고 하고 혼자 해보기로 결정했다”며 “최저임금 인상은 현업을 유지하고 있는 자영업자에게는 커다란 부담이 되고, 예비 창업자들에게는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가뜩이나 음식·숙박업·도소매업 등 특별한 기술이나 자본 없이 저숙련·저임금 노동에 의존하는 도내 자영업 시장인데, 최저임금까지 급등해 예비 창업자들에게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정부는 이런 상황에 대비해 약 3조원의 재원을 투입해 최저임금에 따른 인건비 부담을 보전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제 자영업자들은 그 효과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직원 한명 당 한 달에 13만원가량을 지원할 방침이지만, 재정건전성을 고려하면 정부의 임금 보전책은 지속성이 없다는 것이다.

한국외식업중앙회 전주 완산구지부 관계자는 “영세 자영업자들이 직원 한 명당 한 달에 10만 원 가량을 지원받으려고 여러 가지 절차적 번거로움을 감수할지 의문이다”며 “단기 지원책도 중요하지만, 영세 자영업자들의 근본적인 경쟁력 강화와 구조조정 방안도 함께 마련해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저임금 상승으로 유래 없는 자영업자들의 자생적인 구조조정도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고용원이 있는 영세 자영업종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할 공산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데,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스스로 사업을 접거나 직원 수를 줄이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자영업자를 비롯한 영세사업자들은 인건비 부담으로 “고용을 줄이고 가족경영체제로 운영하는 게 최선”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실제 지난달 호남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11월 전북지역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도내 자영업자수는 24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8%(2만3000명) 감소했다.

이 가운데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21.6%나 감소해 이미 도내 자영업 시장의 구조조정은 시작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양승수기자·ssyang0117@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