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추진해온 마을기업이 극심한 인구 부족과 초 고령화로 마을 자체가 사라질는지도 모를 위기에 처한 한계마을들에 재편 재생의 희망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이 2017년 현재 도내 14개 시군의 102개 마을기업에 모두 1천592명의 마을 사람들이 고용돼 있고 연간 121억 원의 주민 소득을 올린 것으로 밝혔다. 마을기업 당 15명 전후를 고용하고 있고 평균 1억 원 정도의 소득을 올린 것이 된다.
  마을기업은 5인 이상의 주민 참여와 출자로 설립된 법인이나 마을회, 또는 NPO 등 지역단위 공동체로 마을의 토착 자원을 활용한 농업 생산이 주된 사업이다. 녹색에너지사업이나 복지사업 등도 펼쳐 일자리를 만들고 공동의 이익을 창출한다.
  이들 마을기업들은 부족한 주민 인구에 태반이 고령으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는 농촌 마을에 소재하고 있다. 사업체가 존립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사업을 영위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데도 고용이 유지되고 소득을 올리고 있다는 사실이 고무적이다.
  마을기업들은 그간 높은 창업열기에 비춰 규모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져 왔다. 2010년 첫 해 11개 기업에 이어 2012년에는 40개 기업 그리고 2014년에는 80개 기업으로 늘어났다.
  그 사이 10개 기업 중 1개 기업이 사업을 중단하거나 폐쇄되는 시행착오가 없지 않았다고 한다. 지원이 끝남과 동시에 개점휴업 상태가 된 마을기업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 기업의 창업 실패율에 비하면 마을기업의 그것은 높지 않다고 해야 할 것이다.
  전북의 농촌 현실은 매우 심각하다. 지속적인 젊은 인구 유출과 저 출산에 따른 초 고령화로 마을 자체가 사라질 위기에 빠져들고 있다. 2015년 인구주택 총 조사서 전북의 20호 미만 과소화 마을이 515개 마을로 전국 1천270호의 무려 40.4%를 차지하고 있다.
  마을의 자원과 주민인구를 중심으로 한 마을기업들이 이들 한계마을에 희망이 되고 있는 것 같다. 주민 인구 유출을 막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입을 부를 수도 있는 일이다.
  일부 시행착오에도 마을기업 창업과 육성에 지속적이며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고 믿는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