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나(任那)는 가야가 아니라 대마도였다는 새로운 주장이 인하대 연구팀에 의해 제기돼 주목받고 있다.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도를 현지 조사한 인하대 고고학과 답사팀은 조선총독부 관변 학자들이 주장한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說)'이 허구임을 실증했다고 29일 밝혔다.
  일제 강점기 일본 학자들은 '일본서기' 신공황후 기록을 인용해 신라를 정벌한 365년부터 200년간 식민통치기관인 임나일본부가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한반도 남부는 일본의 식민지였고, 북부는 한사군에 의해 지배됐으므로 일제의 식민통치도 한국의 원래 상태로 돌아간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식민사관의 핵심 논리였다.
  인하대 융합고고학과 남창희 교수 연구팀은 임나일본부설의 근거가 된 일본서기 중애천황조 기록을 정밀 분석한 결과, 논리적 모순을 다수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일본서기에는 당시 바닷물이 나라 안으로 들어와 겁을 먹은 신라왕이 항복했다고 기록됐지만, 동해는 원래 조수간만의 차이가 별로 없는 지역인 데다 해발고도상 신라의 수도 경주는 밀물이 들어 올 수 없는 곳이라는 것이다. 경주 시내 형산강(서천)의 둔치 해발고도가 28m이고 시내 평지 표고는 30~40m에 달한다.
  또 4세기까지 부산과 김해 등 남해안 지역은 가야 세력권이라 신라와는 무관하므로, 한반도에서는 신공황후 신라정벌설에 해당하는 곳이 없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연구팀이 지난 3년간 주목한 것이 고구려·백제·신라가 각각 대마도에 세력권을 나누어 갖고 있었다는 부산대 이병선 교수의 주장이다.
  후쿠오카에서 출발한 원정함대가 상륙작전을 할 곳은 대마도와 이키섬 두 지역밖에 없었다. 대마도 아소만의 와타스미 신사의 수중(水中) 도리이(신사의 입구문)는 만조 때 최대 2m 물에 잠길 정도로 대마도는 뚜렷한 조수간만 현상이 발견된다.
  일본서기에 나오는 기록 기해월 신축일을 조수간만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계산해 보면 그날부터 3일간 만조였고, 당시 후쿠오카에서 배로 사흘 걸리는 대마도 서쪽에 사리 현상이 있었다. 이는 한국천문연구원 양홍진 박사가 반복적으로 데이터 입력해 나온 결과라는 것이다.
  따라서 신공황후가 정벌했다는 신라는 한반도의 신라가 아니고 대마도 서쪽 연안의 신라계 세력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는 게 답사팀이 내린 결론이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