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경제의 성장률(이하 GRDP)이 대체로 전국 수준을 화회하는 등 육성대상 산업의 성장견인 역할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육성산업을 중심으로 대․중소기업의 상생 생태계를 조성해 보다 안정적인 경제 구조를 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지난달 31일 한국은행 전북본부에서 발표한 ‘전북지역 산업구조변화 추이 및 향후 육성전략 수립 방향’에 따르면, 도내는 2010년 이후 자동차, 화학, 조선 등 일부 산업의 성장 동력이 저하되며 지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이 파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북은 2003년 이후 자동차, 기계 등 대기업이 입지한 육성대상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 내 제조업 비중이 꾸준히 상승했다.

실제 GRDP 중 제조업 비중은 2002년 23.9%에서 2015년 27.2%로 상승한 반면, 서비스업(55.1%→53.8%) 및 농림어업(11.9%→8.6%) 등의 비중은 하락했다.

이처럼 2003년 이후 적극적인 기업유치 전략 등으로 성장세를 이어왔으나, 2010년부터 일부 주력 산업의 성장 동력이 저하됐다.

이어 2010년을 전후로 기업유치에 따른 공장설립 초기 기저효과가 소멸되고, 자동차 등 일부 주력산업이 글로벌 경쟁 심화로 업황까지 악화, 제조업 생산이 2011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주요 주력산업 연관업종 생산지수는 2011년 103.0에서 2016년 63.7%로 무려 40% 가까이 하락했다. 전국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주력산업이 감소세를 보이면서, 지역 경제를 주도하고 있는 산업을 대상으로 미래 성장가능성의 관점에서 종합적인 경쟁력을 평가해 육성 정책을 수정․보완해야 한다는 방안이다.

지역 내 여타 산업을 상회해 고용을 창출하고 도민의 소득을 현재 2만 달러에서 2배 이상인 4만 달러로 끌어올릴 수 있는 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것.

또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도내가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는 산업을 중심으로 육성 대상을 선택해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대기업은 중소기업과 상호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해 동반 대응하고, 정부는 단기적인 중소기업 지원보다 중장기적인 육성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 관계자는 “지역 자원의 선별적인 집중을 위해 도내 경쟁우위에 대한 우선순위 판단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며 “도내의 경우, 대기업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되 주력산업 내에서 다수의 중소기업이 특화된 품목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연관 중소기업을 육성해 보다 안정적인 경제구조를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 전북본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전북 산업구조 현황과 대응 방향’ 책자를 발간하고 도내 지방자치단체 등에 배포할 예정이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