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소득 1,000만원이 위협받고 있다. 오는 2022년에는 농가당 농업 소득이 995만원으로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반면 농업경영비는 2017년 2,181만원에서 2,419만원으로 오르는 등 악화된다는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전망 2018 발표'에서 올해 가구당 농업 소득은 지난해보다 8.7% 감소한 1,014만원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최저임금 인상과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농업경영비가 3.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나온 결과치다. 수입 농축산물의 공세도 거세질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는 지난해 보다 4.4% 늘어난 263억달러어치가 수입될 것으로 예측됐다. FTA 이행 연차가 지날수록 관세율 인하폭은 커지기 때문에 갈수록 농축수산물 수입은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여기에 미국과 유럽연합을 중심으로 신보호무역주의 추세가 강화되면서 이들 나라의 농축산물 시장 개방 압력도 거세질 전망이다. 반면, 국선 농축수산물 소비는 위축될 것으로 전망됐는데, 배추·무·고추·마늘·양파 등 채소와 쌀 소비가 지난해보다 더욱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쌀값은 농가 기대치에 크게 못 미치는 80kg당 15만6,000원선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면서 다시 한 번 쌀 파동이 예상되고 있다. 한우 역시 도축마릿수가 줄고 가격이 상승하는 사이 외국산이 국내 시장을 잠식하고 있고, 돼지고기는 생산량이 늘어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달걀 값과 육계 값도 하락이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1인당 소비량이 늘지 않아 국산 주요 과일의 재배면적이 감소세에 있다.
전망은 최악인데, 농정은 현안에 대응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8년 업무계획'에서 농식품 분야에서 일자리 3만3,0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기준으로 농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는데, 관련 정책들이 기존의 정책을 답습하는 면이 많다는 것이다. 농촌은 갈수록 고령화되고, 양질의 일자리도 턱없이 부족한데, 목표에 맞는 정책을 짜깁기로 내놓은 경향이 있다는 게 농업계의 지적이다. 때문에 새로운 농정의 틀을 마련하는 게 중요한데, 대통령 공약대로 이를 담당할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도 설치되지 않고, 관련 예산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우려가 현실이 될 때까지 기존 정책처럼 추진해서는 안 된다. 관련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정말 농정의 틀이 변화될 정도의 계획이 나와야 한다. 농업 소득을 올려야 농촌이 살아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