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고위급 대표단 방남으로 무르익은 남북대화 분위기를 한반도 평화정착으로 이어가기 위한 우리 정부의 후속조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여정 특사를 통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방북 초청은 사실상 남북 정상회담을 공식 제안한 것이어서 ‘방북 여건’ 마련에 골몰하는 분위기다.

남북 정상회담을 개최하려면 미국을 비롯한 주변국들로부터 지지와 동의를 확보하는 등 외교적으로 우호적 환경이 먼저 조성돼야 한다. 때문에 청와대와 정부는 충분한 구상과 치밀한 전략을 세워 방북 초청에 대응하는 기조다.

우선적으로 미국과 일본, 중국, 러시아 등 주변 4강을 상대로 방남 결과를 공유하고, 신뢰를 다지는 작업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북미간 대화 중재가 관건이다. 북핵 문제로 대립각을 세우는 북한과 미국 사이에서 긴밀히 소통하면서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는 외교력이 강조되고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12일 “북한 고위급대표단의 방남으로 한반도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실마리가 마련됐지만 비핵화에선 진전이 없는 게 사실”이라면서 상황에 따라 남북관계 진전을 통해 북미대화를 견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따라 대북 특사파견도 신중하게 검토될 것으로 보인다. 10년 가까이 단절됐던 남북 고위급 소통채널이 지난 2박3일 동안 급격히 복원된 만큼, 노무현 대통령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회담을 실무적으로 주도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서훈 국가정보원장 등이 대북특사가 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조 장관은 전날 북한 대표단을 환송하면서 “잠시 헤어지는 것이고 제가 평양을 가든, 또 재회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한 점은 특사 파견의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최홍은기자·hiimnews@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