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사태가 정부와 GM본사 간 대화와 협상이 시작되면서 사태 진전의 방향과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 것 같다. 사태의 귀결은 아직 예측조차 불가능하다. GM이 대표적인 다국적 대기업 인만큼 협상 자체가 지극히 복잡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초 군산공장 폐쇄 발표로 시작된 GM사태가 GM사장단의 방한과 정부 부처 및 한국산업은행 그리고 정치권과의 접촉 과정서 사태의 방향이 그 모습을 윤곽이나마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우선 좀 더 분명해진 사실은 군산공장의 폐쇄 방침이다. GM이 처음부터 밝히고 나섰거니와 국내 부평 창원 등과 함께 3개의 한국 공장 중 군산공장의 폐쇄 방침을 거듭 확인하고 있다.
  정부와 산업은행 등 한국 측과 협상이 어떻게 되어가든, GM측은 구조조정 차원에서 가동률이 가장 낮았던 군산공장은 폐쇄하겠다는 것으로 들린다. GM사장단 측에서 ‘인수 희망자가 있다면 적극적으로 협상 하겠다’며 매각의 뜻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군산공장은 폐쇄 철회를 통한 재가동은 희망도 기대도 할 수 없게 되고 있는 것 같다. 앞으로 정부와의 협상에서도 가망이 없는 게 아닐까 하는 절망감마저 버리기 힘들다.
  정부가 서둘러 군산을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과 고용위기지역 지정에 나선 것도 군산공장의 폐쇄 불가피를 전제로 한 것으로 보여 진다. 물론 재난 뒤 난민 구호의 손길처럼 공장 폐쇄 뒤 구제와 금융 세제 등의 지원대책은 필요하다. 
  그러나 공장 폐쇄 뒤 근로자 실업 지원이나 중소 협력업체 금융지원 등이 무너져 내리는 군산지역 경제를 되살리는 근본대책이 될 수는 없다. 더구나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서 치명적인 상처를 입은 뒤 끝이다.
 근본대책은 공장 재가동일 수밖에 없다. 군산공장 폐쇄 철회 가망이 전무하다면 그를 넘어 재가동의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GM서도 제3자 인수 희망자와의 적극적인 매각 협상 방침을 밝히고 있는 만큼 앞이 안 보이는 것도 아니다.
  3자 매각협상이 멀고 험난할 것이다. 그러나 빈사상태로 빠져드는 군산지역경제를 되살리는 근본대책이 군산조선소와 GM공장 재가동인 만큼 그 길을 찾아나서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