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 군산공장 정상화를 위한 첫 관문인 이사회가 열렸지만 군산공장에 대한 언급은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도는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해 행안부·기재부·산업부·노동부 등 해당 부처 장관들을 만나 군산공장 폐쇄 여파를 설명한 뒤 군산공장 경영 정상화 방안을 위해 노력했지만 무용지물이 된 셈이다.

25일 전북도 및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 23일 한국GM 부평공장에서 열린 한국GM 이사회에서 GM은 이달 말로 만기가 도래하는 7000억원의 한국GM 상대 대출금을 실사가 끝날 때까지 회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GM은 한국GM 부평 공장에 대한 담보 요구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업계는 GM이 이사회에 이어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차입금 만기연장 전제 조건으로 한국GM 부평공장을 담보로 설정하는 안건을 상정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하지만 이날 GM의 입장 변화로 만기 연장과 담보 제공 등에 대한 이사회와 주총 의결의 필요성이 사라진 셈이 됐다.

따라서 적어도 3월말 정도까지는 GM이 7000억원을 한국GM으로부터 빌려준 자금을 회수하지 않을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이날 한국GM 군산공장 정상화를 위한 어떠한 언급도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 동안 도는 이낙연 국무총리와 행정안전부·기획재정부 장관 등을 잇달아 만나 한국GM 군산공장 폐쇄에 따른 정부 차원의 각종 지원책을 건의했다.

이에 지난 20일 군산지역을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과 고용위기 지역 지정 등 제도적 지원을 이끌어 내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정책들이 실직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점에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직된 인력을 흡수할 만한 새로운 산업 기반이라는 게 단기적으로 만들어진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런 대책은 필요하긴 하지만 충분한 대책이 되기에는 어려운 한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도 관계자는 “이날 이사회는 한국GM이 존치로 나아가는 첫 관문이자 군산공장 정상화를 위한 중요한 자리였지만 군산공장에 대한 언급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정부는 비장한 각오와 위기의식을 갖고 군산공장 정상화를 위한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GM의 이사진은 GM 측 사외이사 7명과 산업은행 측 사외이사 3명 등 모두 10명으로 구성됐으며, 앞서 산업은행이 추천한 사외이사가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결정안에 반대의견을 제시하지 않은 것에 비판의 목소리를 높임에 따라 당시 사외이사의 행보에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