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군산공장을 살려 달라 호소해도, 살려내라고 윽박질러도 GM은 물론 정부 부처 어디서도 군산공장에 대한 희망적인 반응은 여전히 들을 수가 없다. 공장 근로자들마저 대거 희망퇴직으로 공장을 떠나고 있다.
  GM군산공장 폐쇄는 현대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이어 군산경제 전북경제에 치명타를 안겼다. 지역경제 기반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 정부도 대통령 국무총리까지 사태가 심각하다며 긴급대책 강구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특단 대책도 기껏 산업위기대응 및 고용위기대응 특별지역 지정을 통한 재난구제에 그치고 있다. 폐쇄 철회와 재가동으로 지역경제를 근본적으로 되살리는 근본대책과는 거리가 멀다. 정부도 개별기업 문제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때도 같은 체험을 했다. 전북이 아우성쳐도, 정부와 정치권이 특단 대책의 강구에 나선다 해도 군산조선소는 결국 가동 중단됐고 전북은 큰 상처를 입었다. 다행히 최근 세계적인 조선경기 회복에 따른 수주증가로 군산조선소 재가동 희망이 커진다고 들린다. 
  서남대학교 폐교서도 같은 경험을 했다. 지역사회가 간곡하게 존치를 주장했으나 부실경영에 학생부족 절벽을 넘지 못해 끝내 폐교됐다. 다행히 서울시립대학교와의 협력으로 남원캠퍼스에 공공의과대학 설립이 추진된다고 한다. 남원 지역구 이용호 의원이 관련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다고 전해진다.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GM군산공장 폐쇄, 서남대 폐교 등은 우리 사회에 냉엄한 시장경제 원리가 작동하고 있고 이들 사건들도 그 결과물임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결국 이들 사건의 상처도 시장원리에 입각한 치유가 될 수밖에 없다고 믿는다.
  시장에는 위기가 기회라는 원리도 작동된다. 전북이 당면하고 있는 지역경제의 위기는 그를 극복해나갈 기회임을 시사해주고 있기도 하다. 지금 정부와 정치권에는 전북의 위기 구제에 대한 공감이 확산되어 있다고 믿는다.
  2월 국회 마지막 본회의 개발공사 설립 관련 새특법 개정안 통과도 그 같은 공감대의 산물일 수 있다. 새만금 속도전 사업들을 비롯 혁신도시의 연기금전문대학과 탄소진흥원 설립 등 산적한 전북현안들을 관철해내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