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한 교륙협력 분위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이전처럼 감동이 크진 않더라도 남북 단일팀 경기는 남과 북에 큰 반향을 일으켰고, 이어진 남북대화에도 영향을 줬다. 상황은 급변해 남북정상회담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며, 트럼프가 김정은을 만나겠다고 공언하면서 남북 화해 분위기는 한껏 고조되고 있다. 우리가 그동안 반복적으로 지켜본 남북정상회담에서의 발표와는 다르게 이후 진행된 구체적 사업들은 대부분 중단된 상태로, 추가 사업들을 추측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럼에도 이번 정상회담 이후 사업들을 구상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은 남북 경제발전이 우리와 북한 주민들에게 너무나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미 국토교통부와 통일부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기본계획과 단계별 실행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신경제지도에서 국토교통 분야는 서해권 산업·물류·교통벨트, 동해권 에너지·자원벨트, DMZ 환경·관광벨트 등으로 구성된 남북 경제협력벨트 조성이 핵심이다. 또 대통령 직속 북방경제협력위원회는 현재 철도, 가스, 항만, 전력, 북극항로, 조선, 농업, 수산, 일자리 등 9개 핵심 협력사업과 해외 인프라 사업 등의 발굴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도로·철도 등 남북 인프라 연결은 한반도의 지도가 바뀌는 초대형 사업이며, 우리 기업의 북방지역 국가 진출 길이 더욱 넓어지는 사업이다. 특히, 인구 감소와 경제 저성장 문제를 풀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도 남북 인프라 사업은 우리에게 꼭 필요한 사업이라 하겠다.
더욱이 농업분야에서는 남과 북이 시급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둘이 아니다. 북한의 식량 문제와 남한의 쌀 가격 폭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에서부터 북한 기후에 적합한 품종 및 재배법 개발, 북한 농가의 자립 지원 및 대외 경쟁력 강화 등 추진해야 할 사업은 이미 상당 수 제시된 상태다. 지난해부터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등은 북방지역과 유사한 중북부지역에서 '한반도 북방지역 식량생산성 향상기술 개발연구'를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또 북한은 농업 개혁 뿐만 아니라 남한에서 대규모 농업협력을 유치해야만 한다. 우리 역시 북한과의 농업 혁력을 추진해야만 미래농업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다. 남북의 길이 연결되고 농업분야에서 협력사업을 펼치는 것은 곧 통일로 가는 첫걸음이 될 것이다. 평창올림픽이 열어준 기회를 놓칠 수 없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