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 전북교육은 사교육비만 늘고 학력수준은 전국평균치를 밑도는 최하위 수준에서 맴도는 퇴보와 뒷걸음으로 요약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명박, 박근혜정권 을 지내면서 경제는 물론이고 특히 교육 분야에서의 전북홀대와 무관심이 도를 넘으면서 수년간 기초학력수준에도 못 미치는 학생수가 17개 시 도 중 가장 많았다는 것이다. 도내 중학교 3학년의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4년 동안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에 따른 것으로 특히 고등학생들의 수능판단 기준인 1,2등급을 합한 상위등급 역시 전국평균을 따라가지 못했다. 이에 반해 학생들 사교육비는 지난 2010년 16만4000원에서 2016년에는 19만4000원으로 매년 증가폭이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그동안 전북교육의 가치로 내걸었던 창의교육실현은 처음부터 불가능했고 이는 미래 전북교육 가능성마저 부인할 수 없게 한  심각성으로 도민들의 큰  걱정거리가 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었다. 여기에 전북도교육청이 추진했던 지역차원의 교육정책 원칙이 보수정권 교육이념과 마찰을 빚었던 것 역시 전북교육엔 악재로 작용했다. 지나친 원칙 고수 때문에 애꿎은 학생과 교육당사자들만 피해를 봤다는 지적까지 나올 정도였다.
사교육비 줄이기, 반값등록금 추진 등의 굵직한 정부교육정책들이 실현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현실은 헛구호 였고 특히 전북교육은 중앙교육정책의 소외에 소신에 기초한 지역 교육정책이 부딪치며 교육경쟁력 자체를 상실하는 위기를 맞고 있다. 정권이 바뀌면서 전북교육 원칙과 이념에 대한 정부 이해도가 높아질 것이란 기대도 있고  또 과거정권과는 다른 교육지원정책 변화도 기대되는 대목이긴 하지만 한번 떨어진 학생들의 학력수준이 한두 해 만에 급상승 할리는 만무하다. 지금부터 부단한 노력과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머리를 맞댄다 해도 학력신장의 현실화는 멀기만 한 길이다.
뒤쳐진 지난 10년 세월만큼이 흘러야 당시 수준을 겨우 회복할 것이란 비관론이 팽배한 것은 그만큼 교육의 길이 녹녹치 않음을 뜻한다. 교사들의 사기와 열정을 불러일으키고 학생들 스스로의 학업성취를 위한 강력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인지 찾아야 한다. 학부모는 물론 지역사회 전체가 전북교육낙후와 위기탈출을 위해 한마음이 돼야 한다.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을 만큼 내려온 전북교육, 더 이상 방치하면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