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GM군산공장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전기상용차 중심의 자율주행 기반 전진기지 구축’을 제시했지만 군산공장 해결책으로는 미지수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군산공장의 장기적인 측면과 정상화 이상의 효과를 누리겠다는 뜻이지만 생태계 구축을 위해선 최소 5~10년이 걸려 악화일로에 처한 군산경제가 버틸 수 있는 단기 대안사업이 선결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15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GM군산공장 정상화는 당연한 것이고 군산공장의 위기극복을 위해 전기상용차 중심의 자율주행 기반 전진기지를 구축해 군산이 상용차 중심의 전진기지로 발전되도록 할 것이다”고 말했다.

앞서 송 지사는 GM군산공장 폐업사태 극복책 중 하나로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한 ‘전기상용차 자율주행기반 글로벌 전진기지 조성사업안’을 이낙연 총리에게 건의한 바 있다.

전북이 상용차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할 상용차업체, 연구기관, 새만금 항만과 도로 등 인프라를 충분히 갖췄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현재 군산공장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생태계 구축을 위해선 최소 5~10년이 걸려 악화일로에 처한 군산경제가 버틸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GM의 자회사인 GM홀덴이 지난 2013년 호주에서 철수하겠다고 발표한 후 호주 정부 지원 하에 2014년부터 전기차 생산공장으로 탈바꿈하는 작업을 전환했지만 아직까지 마무리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전북은 상용차 생산 증가에도 부품제조업 기반은 약해 전기상용차의 발전을 위해선 관련 업체들이 늘어나야 하는 부분도 있다.

현대자동차와 타타대우상용차에서 생산한 상용차 생산대수는 지난 2011년 7만39대에서 2015년 7만5400대로 5361대(7.6%)가 늘었다.

그러나 도내 상용차 관련 부품생산업체의 경우 자동차 엔진용 부품제조업체 35개,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제조업체 24개, 자동차용 전기장치 제조업체 9개로 적은 상황이다.

이는 전국 사업체수 대비해 상용차 관련 자동차 엔진용 부품생산업체(1834개)는 1.9%,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제조업체(1365개) 1.8%, 자동차용 전기장치 제조업체(610개) 1.5%의 수준이다.

때문에 소재와 부품, 완제품으로 이어지는 상용차산업의 연결고리인 상용차 관련 부품제조업 기반이 약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도내 정가의 한 관계자는 “호주 정부가 2014년부터 GM의 철수가 시작되자 단계별로 실직자 보호조치를 취하는 한편 매각한 공장을 전기차 공장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진행,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지만 호주 같은 새로운 해법을 찾는 데 최소 5년은 걸릴 것”이라며 “최종적인 대안으로서는 반드시 준비를 하고 있어야 되지만 이 기간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클 것”이라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