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희 부동산마케팅기업 가함 부사장

우리나라의 부동산은 정책이 나올때마다 특정지역은 상승에 상승을 더하고, 일부 지방은 침체기를 맞이하고 그 패턴은 명확했다.
정부의 각종 투기억제 정책이나 정부부양책을 쓸 때에는 전체적으로 오르고, 규제책을 쓸 때에는 지역별로 오르게 된것이다.
현재 부동산의 가파른 상승세는 언론에서 말하듯이 ?서울 강남을 필두로 하여 마포, 용산, 성동, 광진을 비롯해 강북권까지도 가격상승을 부추겼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 강화로 주춤하게 시장은 냉랭한 정국을 맞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주변지역 ?분당.수원.용인 동탄 등 경기남부권까지 집값이 오른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부동산시장을 바라보는 정부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집값을 잡겠다는 의지로 현재 진행시키고 있지만 국민의 재산 약70%가 묶여있는 부동산에 대해 재산권행사에 지장을 주는 대책은 신중에 신중을 더해 시장의 정책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부동산대책 발표 후 단기적으로 짧은 기간내에 모두 효과를 보려 한다면, 얼마나 큰 시장의 부작용이 예상치 못한 곳에서 일어날지 심히 우려스럽기 때문이다.
물론 정부관계자들의 고심끝에 나온발표들은 그런 위험스런 방법을 피하면서 시장을 안정시키려 노력의 노력을 거듭한 결과라 믿어 의심치는 않는다.
2018년 3월까지 집을 팔지 않으면 다주택자의 경우에는 10% 또는 20%의 가산세가 붙는다.
개인적인 사정상 못 팔았을 때는 어찌해야 할 것인가? 가격을 낮추고 여기저기 부동산에 내놓는다면 물량접수는 과다하게 집계될 것이고, 시장의 가격하락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 질 것인가.
부동산의 특성상 빨리 팔려고 하면 더 안 팔리는며 급히 팔려면 손해를 감수해야하는 것은 상식적인 일이 아닌가?
그래서 급급매, 급매저렴이라는 문구가 자연스럽게 쓰여지고 있는 것이다. ?지금은 정부나 투자자나 실수요자 모두들 신중이 움직일 때다. 정부는 쥐를 구멍으로 몰듯 다주택자들을 몰아치기만 하면 안된다. 적어도 궁리를 하여, 모면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의 제안은 좀 더 구체적으로 있어야 한다고 본다.
지역에 따라 왜 집값이 오르는지 원인규명도 없이 집 사는 사람을 무조건 투기세력으로 간주하는 식의 개념은 시장원리에 부합하지 않는다.
자본주의 사회의 기본바탕을 염두해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미분양 적체가 심하고, 건설경기가 안좋아지면 대출받아 집 사라고 온갖 규제책 다 허물었지 않았었던가?
예를 들어 서울에 10억이상의 아파트를 한채 가지고 있다면, 1가구 1주택자로 각종세금감면을 받는데 지방에 3억짜리 3가구 이상 보유하고 있다면 다주택자라서 세금을 마니 내어야 하는 세금구조가 아닌가?
시장의 한파가 있다고 해서 모든것이 멈출수 없듯이 ?실수요자는 올바른 개념하에 사는것이 맞다.
부동산 시장은 일반물건과  달리 등락할수는 있으나, 주식폭락하듯 널뛰기 종목은 아니지 않은가.?
양극화로 인해 시장예측이 어려울때는 전문가에게 조력을 받아서 리스크를 줄여야하고, 장기적으로 기다릴수 있는 여유를 준비해야한다.
다주택자. 오피스텔을 마니 가지고 있다면, 적정한 판매를 통해 현금화를 하여, 시장을 준비해야한다.
또한 은행대출 등을 감안하여,  실이익 덜한 부동산은 판매하여 수량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현시세와 맞지 않는 상가를 불필요하게 보유할필요도 없고, 토지에 관심있는 투자자라면, 수도권에 검토하는 것이 맞을것이다.
수도권은 개발호재가 풍부하고, 정권에 따라서 신도시나 산업도시 개발등 개발가치를 기대할수 있는 모멘텀이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에 투자를 염두하고 있다면, 적어도 6년에서 10년은 보유할 생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작더라도 입지가 좋은 곳에 부동산을 사두면 돈을 벌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고, 부동산은 팔아야 할 것과 팔지 않아야 할 것을 명확하게 구분해서 정리하는 투자원칙을 실현해보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