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의 군산공장 폐쇄 발표에 전북지역 경제가 곳곳에서 흔들리는 등 도내 경제 타격 우려가 현실화되는 모습이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GM 군산공장 폐쇄 발표로 최근 악화되고 있는 전북 수출이 더욱 큰 타격을 받게 됐다.
이는 GM 군산공장 수출 물량 뿐만 아니라 GM 군산공장에 납품하고 있는 1차 협력업체들의 수출까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대기업이 협력업체에 해당 대기업 및 자사에만 납품하도록 하는 '대기업 전속 계약제'에 따라 GM 1차 협력업체들은 제품을 따로 수출할 수 없게 됐다.
군산지역 관련업계 관계자는 "대기업 전속 계약제 때문에 1차 협력업체들의 수출이 막히는 등 공동 도산을 겪게 됐다"면서 "지역경제 악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대기업 전속 계약제를 당장 폐지하고, 협력업체 간 부품 공동개발 및 수출 등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차 협력업체의 도산은 2, 3차 협력업체들의 연쇄도산을 불러올 수 있어 이들의 주장은 설득력이 크다.
이와 함께 한국GM의 경영난이 심해지자 1차 협력업체들의 어음 할인이 막혀 줄도산 위기에 처해 있다는 목소리도 크다.
한국GM 부품협력업체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1차 협력사의 2월 공장 가동률이 50~70%대로 떨어지자 금융권이 여신 축소 등 특수관리에 들어가면서 영세한 2~3차 협력업체들에게 지급한 60일 만기 어음을 은행들이 거부하고 있어 1, 2, 3차 협력업체들이 도미노 붕괴 위기에 몰려 있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GM 군산공장 폐쇄 결정은 이들 협력업체 뿐만 아니라 지역 금융권의 부실 위험까지 높이고 있어 지역경제 전체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도내 은행들은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및 한국GM 군산공장의 1차 및 2, 3차 협력업체들에게 상당액의 대출을 실현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산조선소가 문을 연 2010년과 GM 군산공장의 호황으로 도내 금융권은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걸맞게 대출을 경쟁적으로 실시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군산조선소가 지난해 7월 가동을 중단하면서 은행들은 부실을 정리하기 시작했는데, 이에 더해 GM 군산공장 폐쇄가 결정되자 은행들이 페닉에 빠졌다는 소문도 돈다.
발빠르게 여신 회수 절차를 밟고 있는 은행들도 있지만, 도내 A은행의 경우 공격적으로 추진했던 대출이 많아 회수 절차에서 애를 먹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 은행은 각 협력사 뿐만 아니라 군산시 오식도동 원룸 등 주거지와 상가 등 점포를 대상으로도 공격적 대출을 추진했다. 그 결과, 이번 사태로 이 은행의 해당지역 대출 부실률이 절반에 가까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또한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 이후 원룸 등 경매물건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은행권이 대거 채권 회수에 나설 경우 인근 부동산까지 폭락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도내 상공업계 관계자는 금융권의 어려움이 도내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어 GM 군산공장 폐쇄 사태는 전북지역 전체 경제문제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