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을 비롯한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실적이 기대이상의 호조를 보이는 만큼 군산조선소 재가동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군산조선소 가동중단으로 협력업체를 포함 5000여명의 근로자들이 사실상 일자리를 잃은데 이어 오는 5월 폐쇄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는 GM군산공장의 충격적 여파까지 가세할 경우 군산지역에만 최대 2만여 명의 실업자가 발생, 군산경제는 감당할수 없는 충격에 휩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행히 지난해에 이어 올 들어서도 현대중공업의 수주가 기대이상 실적을 보이며 군산조선소 재가동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을 만큼의 수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일말의 희망을 가지게 한다. 현대중공업의 작년 수주실적이 99억 달러로 목표치인 75억 달러를 훌쩍 넘긴데 이어 올 들어서도 최근까지 20억 달러 규모의 선박 29척을 수주, 올 목표 132억 달러 달성에 청신호가 켜진 상태이기에 그렇다.
물론 현대중공업측은 당장 울산조선소도 일감이 부족하다면서 이곳의 정상화가 우선이란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지난 1월, 군산조선소를 재가동하기 위해선 연간 최소 70척 이상 건조할 수 있는 물량을 2년 치 이상 확보한 상태여야 한다는 가이드라인도 제시해 놓은 상태다. 조선업은 직영인력보다 많은 협력사들의 지원이 필요한 만큼 반짝 수주증가만을 앞세워 섣불리 재가동 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 때문에 수년간 버틸 수 있는 수주물량확보 없는 재가동 논의는 불필요 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침몰직전의 군산경제, 심각한 후폭풍이 예고된 전북경제의 충격파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선 군산조선소 조속한 재가동에 일말의 기대를 걸어야 할 만큼 지역상황이 급박하다.
더욱이 군산조선소 가동중단 대책마련을 위해 나선 문재인 대통령이 최길선 전 현대중공업 회장으로부터 2019년부터는 군산조선소를 재가동 할 수 있을 것이란 답변까지 받았던 만큼 지금 현대중공업에 이 문제를 요구 하는 게 큰 무리는 아니란 것이 지역의 중론이다. 군산조선소 조기 재가동에 대한 현대중공업측의 전향적인 입장을 끌어내기 위한 노력에 도와 정치권, 그리고 정부가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이윤을 최고 목표로 하고 있는 기업에게 손해를 감수하면서 무작정 문을 열라고만은 할 수 만은 없지만 지금 전북은 그런 요구를 해야 할 만큼 최악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