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을 고용과 산업 위기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정부 부처들의 현지 조사가 실시됐다.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실장과 노동연구원 및 산업연구원 등의 관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사단이 한국GM 사태서 비롯된 현지 실태를 살핀 것으로 전한다.
  GM 군산공장이 사실상 폐쇄 상태에 들어간 지 월여가 넘어가고 있다. 그 사이 공장 가동이 중단된 것은 물론 근로자들도 희망퇴직 등으로 대거 이탈해 공장이 유령화 되다시피 하고 있다. 인근 상가가 공동화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군산 지역경제가 붕괴 위기로 치달은 게 비단 GM사태 이후만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이 전면 중단되면서부터였다. 한때 5천여 명을 넘었던 조선소 고용 인력이 사라지면서 군산의 고용위기는 시작됐고 GM사태가 겹치면서 고용위기와 산업위기가 본격화된 것이다.
  군산의 고용 산업위기는 사실은 그보다 훨씬 이전부터였다. 세계적인 조선 경기 후퇴로 현대중공업의 조선 수주가 격감하면서 군산조선소 조업물량이 급격히 줄었고 고용 인력 감축이 시작됐었다. GM도 마찬가지였다. 생산성 문제 등으로 자동차 판매량이 줄면서 오래전 폐쇄가 사실상 예고됐었다.
  군산 지역경제는 이들 빅 투 경영상황에 따라 널뛰기를 했다. 경영이 최고조였던 2011년 수출이 최고 74억 달러까지 치솟았던 게 지난해 18억8천만 달러로 곤두박질쳤다. 같은 기간 전북 수출액도 128억 달러서 63억 달러로 반 토막 났다.
  정부가 군산을 고용 및 산업위기 지역으로 지정해 재정 및 금융지원 등을 강화하겠다는 것은 현재로서는 정부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대응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지정 속도가 너무 느리다. 현지 실태 조사 후 위기지역으로 지정하고 일선 기관에서 실제 금융 등 지원이 이뤄지기 까지는 얼마나 시일이 더 걸릴는지 모를 일이다.
  전북도는 산업위기 대응 특별지역 신청을 하면서 협력업체 일자리 4천10억 원, 산업구조 고도화 1조2천995억 원, 지역경제 활력 제고 1조3천61억 원 등 총 3조66억 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정부 추경에 99개 사업 1천193억 원의 반영도 요구했다.
  군산 전북 지역경제 위기가 심각하다. 위기지역 지정부터 속도를 내 신속한 지원이 뒤따를 수 있게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