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운영계획'을 발표했다. 맞벌이 부부 등의 초등학생 자녀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돌봄 교실을 확대한다는 내용이다. 온종일 돌봄 인원을 2022년까지 현 33만 명에서 53만 명으로 20만 명 늘리며 여기에는 한 해 2,200억 원 씩 모두 1조 1천 53억 원을 투입한다는 것이다.
  그동안에도 돌봄 교실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와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반대하는 측의 가장 큰 이유는 ‘보육과 교육’은 구분돼야 한다는 것이었다. 학교는 보육기관이 아니라 교육기관으로 보육 때문에 학교 교육이 지장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학교 시설을 관리하는 입장과 예상치 못한 사고에 대한 책임 소재 등 기초적인 문제에서부터 교실의 활용도에 관한 사항까지 여러 측면에서 검토할 사항이 많다는 것이다. 무리하게 돌봄 교실을 늘리다 보면 유휴 공간 부족이 발생하고 이는 교사 수업 준비와 상담, 학생들의 동아리활동 같은 교육활동에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돌봄의 수요는 계속 커지고 있다. 특히 학부모들은 학교가 돌봄에 적극 나서주기를 원한다. 아이들을 믿고 맡길 수 있다는 점과 경제적으로도 사설 학원에 보내는 것에 비해 훨씬 유리하다는 점이다. 십 수 년 동안 돌봄 역할을 해 온 지역아동센터도 있지만 많은 학부모들은 학교를 더욱 신뢰한다. 그만큼 학교는 학부모들의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추세는 교육과 보육의 통합이다. 어린이집과 유치원이 통합되고 돌봄과 교육이 하나로 합쳐져야 한다. 학부모 입장에서 교육과 보육은 따로따로가 아니다. 학교와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교육공동체가 주목받는 것도 이런 이유다.
  하지만 이 과정은 정부와 교사, 학부모, 교육청 등 이해 당사자들의 협의와 합의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 목표를 정해 놓고 추진하는 방식은 전혀 교육적이지 않다. 필요한 예산을 조달하는 방법, 돌봄교실에서 근무할 인력의 수급과 비정규직 발생 우려 등도 깊이 고민해야할 부문이다. 방향에 공감하나 지역 등 현실을 감안한 구체적인 방향이 나오지 않는다면 혼란은 불가피하다. 더 많은 의견을 수렴해 현장에 스며드는 돌봄교실이 만들어지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