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학년도에 수시모집 제도가 도입된 후 25년 만에 수시·정시 구분이 없어진다. 대입 제도가 바뀌는 것은 광복 후 16번째다. '교육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무색하다. 평균 4년마다 한 번씩 바뀐 셈이다. 정권 교체기마다 바뀌는 입시제도가 불러온 교육 현장의 혼란이 재연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교육부는 대입 선발 시기 개편과 고교 교육 정상화를 위한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방법 전환을 주요 골자로 하는 '대입제도 국가교육회의 이송안'과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평가방법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원점수체계를 어느 비중으로 반영하느냐가 최대 관심사다.
수시와 정시 통합에 대한 찬반의견이 엇갈린다. 이 안대로라면 11월에 수능을 치르고 2월까지 3개월 만에 전형을 마칠 수 있다. 수시와 정시로 나뉘면서 연중에 걸쳐 치르던 입시기간이 단축되는 것이다. 수시·정시 통합은 고등학교 3학년 수업의 정상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수능이 끝난 후 대입전형을 치르기 때문에 고3교실의 파행적 운영은 줄어들 전망이다.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위기에 처한 지방대들로서는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다. 수험생 1인당 지원 횟수가 기존 최대 9회에서 6회 안팎으로 줄어드는 건 장단점이 있다. 전형기회 축소는 수험생의 대학 선택권 제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시안은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인 국가교육회의에 상정돼 추가 논의를 거친 뒤 오는 8월 최종 결정된다. 확정안이 아니므로 국가교육회의 논의 과정에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2022년을 시행 시기로 정한 것은 새 정부 임기에 맞추려는 의도로 보인다. 역대 정권들이 입시정책을 무슨 큰 업적처럼 추진하다 실패한 사례는 너무도 많다. 충분한 논의 없이 갑작스럽게 추진했기 때문이다.
공은 국가교육회의로 넘어갔다. 교육부는 오는 8월까지 입시 개편안을 결정해줄 것을 요청했다. 국가교육회의의 역할이 막중하다. 입시제도는 학생, 교사, 학부모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해 모두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는 최적안 마련에 머리를 맞대야 한다.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될 때까지 공론화 과정을 충분히 거쳐야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