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배달료’를 따로 받는 음식점이 늘고 있어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더욱이 배달료를 따로 받지 않아도 주문 최소금액을 조정하는 등 소비자가 느끼는 가격 인상 체감 온도는 뜨겁다는 목소리다.

17일 도내 관련업계에 따르면, 배달 음식점마다 적게는 1000원에서 2000원까지 배달료를 받는 지점이 늘고 있다.

실제 교촌치킨은 새달 1일부터 배달 운용비용의 증가를 이유로 배달비 유료화를 결정하고, 건당 2000원의 배달 서비스 이용료를 부과키로 했다.

특히 배달앱을 이용하면, 최근에는 따로 배달 대행업체의 콜비를 받는 경우가 늘고 있는 추세다.

배달음식점의 경우, 매장 임대료 부담과 배달앱 수수료, 카드 수수료에 올해 최저임금 인상까지 더해져 배달 비용을 따로 받을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전주 효자동 A보쌈 관계자는 “지난달부터 음식값 이외에 추가로 배달비를 받고 있다”라며 “배달 직원이 따로 없기 때문에 배달대행업체를 이용하고 있는데 수수료 때문에 주문하신 고객이 지불하는 시스템으로 바꿀 수밖에 없었다”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와 함께 배달 비용을 따로 받지 않는 품목은 주문 최소금액을 조정했다.

실제 햄버거 브랜드는 기존 1만 원 이하였던 주문 최소금액이 최근 모두 ‘1만 원’을 넘겼다.

버거킹은 최소 주문금액을 기존 8000원에서 1만 원으로 25% 올렸다. KFC도 연초 배달 금액을 9000원에서 1만 원으로 올린 후, 현재는 2000원 더 올린 1만 2000원을 넘겨야 주문을 할 수 있다.

맥도날드는 지난해 연말 최소 주문금액을 8000원에서 1만 원으로 올렸고, 롯데리아 역시 9000원에서 1만 원으로 올렸다.

이에 소비자들은 배달 주문해서 지불하는 금액이 올라가기 때문에 ‘사실상 가격 인상’이나 다름없다는 반응이다.

배달음식이 편리하고 저렴한 장점에 이용했지만, 전반적인 배달 메뉴 모두 배달비가 오르거나 유료화되면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직장인 문 모(38․전주 효자동)씨는 “배달료를 따로 지불해야 한다는 부담감 등이 크게 다가오는 것이 사실”이라며 “같은 음식을 오히려 더 비싸게 먹는다는 생각에 요즘에는 배달 음식보다 포장 주문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