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GM이 자구책을 통한 회생보다는 법정관리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군산공장 재가동에도 빨간 불이 켜진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곧 대량 실직으로 이어져 현재 남아있는 군산공장 450여명 근로자 역시 대대적 인력 구조조정을 피할 수 없게 될 것으로 보여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17일 전북도 및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한국GM은 지난 2월 군산공장 폐쇄 이후 출자 전환과 신차 배정, 신규 투자 등 회생 방안을 내놓았지만 최근 GM 최고경영진의 한국GM 처리기조가 회생보다는 법정관리 쪽으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한국GM은 재무·인사·법무 관련 조직을 통해 법정관리 신청에 필요한 실무 작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GM과 한국GM 경영진이 수 차례 언급한 ‘자금 고갈’ 시점인 20일 이후 곧바로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하려고 내부 절차에 들어간 것이다.

즉, 자금 고갈이 예상되는 20일 전까지 인건비 감축을 위한 노사 합의나 정부 및 산업은행의 지원 등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욱이 지난 10일 방한한 엥글 사장이 그 동안 방한 시 한국에 2~3일 머물렀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20일까지 한국에 남아 있을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엥글 사장이 직접 나서 법정관리 절차를 챙기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처럼 법정관리 데드라인을 받아둔 한국GM으로 인해 대량 실직과 협력업체 피해까지 겹쳐 한국 제조업 전반에 걸쳐 큰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현재 군산공장에 남아 있는 450여명의 근로자 역시 대대적 인력 구조조정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로선 군산공장 직원들에 대한 고용 승계를 전제로 한 매각을 통해 새 주인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2월 배리 앵글 GM 부사장과 카허 카젬 한국GM 사장은 국회 비공개 면담에서 군산공장 수익 창출 능력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라며 인수를 희망하는 쪽이 나타난다면 매각에 적극적으로 응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바 있다.

도내 관련업계 한 전문가는 “군산공장의 경우 수출 선적이 용이한 항만을 끼고 있어 지리·환경적으로 유리한 측면은 있지만 매각에 따른 인수 비용이 상당할 것으로 예상돼 실질적인 인수의향자가 나타날지는 아무도 모르는 상황”이라며 “정부가 적극 나서서 3자 매각 방식에 대한 후속 대책을 내놓아야 하며, 매각 시에는 군산공장 직원들의 고용 승계가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