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가 정부의 ‘말산업 특구지정’에 다시 도전장을 내기로 했다. 말의 생산과 사육, 조련, 유통, 이용 등에 필요한 인프라를 갖추고 말 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을 지정해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엔 강원도와 경쟁을 해야 한다. 지난 2014년 제주도 전역이 말산업특구로 지정된 게 1호로 현재 경북지역 4개지자체 경기도의 3개 지자체가 각각 2호, 3호로 지정을 받아 운영 중에 있다. 그동안 전북은 3회 모두 신청을 했지만 이들 지역에 밀려 특구지정을 받는데 실패했다.
그러나 지난 2013년부터 도가 말산업육성계획을 수립해 지난해까지 투입한 예산만 485억 원이다. 장수군도 총21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 올해 안에 승마레저체험촌, 포니랜드 등 체류형 관광단지 조성을 마무리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비록 정부 특구지정을 받는데 는 실패했지만 그동안 자체적으로 꾸준한 관심과 투자를 통해 밑그림을 그리고 인프라를 보유해온 만큼 이번엔 반드시 정부지정을 받아내겠다는 도의의지 또한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이유다. 재도전키로 한 만큼 빈틈없는 준비로 다시금 실패하는 일이 없어야 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이미 특구로 지정받은 일부 지자체들이 장기발전 방향을 놓고 적지 않은 고심을 하고 있다는 점은 시사 하는바 적지 않다. 특구로 지정되면 2년간 국비 50억 원, 지방비 50억 원등 1백억 원의 사업비를 받을 수 있어 현재 장수를 주축으로 한 말 레저 문화사업과 새만금농업용지 일부를 말산업복합단지로 조정하겠다는 농림부방침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도는 기대한다. 하지만 정부가 지원하는 사업비가 지방비를 제외하면 50억 원에 불과하고 이 역시 2~3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선정될 경우 그나마 사업비를 지자체들이 나눠야 한다. 말 산업 육성의 가장 기본중 하나인 승마인구도 정부는 매년 늘고 있다지만 체감하는 승마인구의 변화는 없다 는 게 관련업 종사자들의 말이다. 말 산업 육성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논리는 넘치지만 정작 이를 즐기고 활용하고 이를 통해 산업을 활성화하는 구체적인 추진단계에서의 노력은 제자리란 것이다. 정부지정을 받아내는 것도 좋지만 그 이후 이를 최대한 지역경제와 연관시켜 육성, 발전시킬 수 있는 세심한 프로젝트가 지금 필요하다. 정부지원은 한계가 있는데 막대한 지자체 예산만 쏟아 붓고 정작 미래는커녕, 당장의 운영조차를 걱정해야 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