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한정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수

최근 심심치 않게 신약개발이 기사의 지면을 장식한다. 주요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바이오의약품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확보하고 기술 선점을 위한 정부 차원의 육성 전략 추진되고 있으며 인구 고령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의약품 시장이 확대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신약개발 인력 양성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한미약품이 2015년 당뇨병 인슐린 기술을 사노피에 43억달러 규모로 기술이전 한 것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라고 하니 우리나라도 신약개발 강국의 대열에 이미 들어서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약물개발 분야에서 절실하게 환자는 요구하고 있지만 너무나 막막하게 느껴지는 분야가 있다. 그 절실한 약물이 치매치료제이다.
치매치료제의 경우, 1998년 이래로 123개의 신약후보 물질이 개발되었지만 실제로 미국 FDA에서 단 4개의 약물만이 허가되었고 이 약물 또한 치료제가 아닌 증상 완화제 수준임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 미국 대통령 보고서에 의하면 미국 내 5백만 명 이상 치매환자가 있으며 2012년 기준으로 이천억 달러의 비용을 지불했으며 향후 획기적인 치매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는다면 연간 1 조 달러의 사회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되어진다고 한다. 이는 미국내 보고서이지만 우리나라도 역시 치매국가책임제를 표방하고 환자가족이 오롯이 짊어졌던 경제적, 정서적 부담을 지역사회와 건강보험제도를 통하여 국가와 사회가 나누어지겠다는 틀을 가지고 있다.  치매환자가 있는 가정은 엄청난 정서적,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치루어야 하며, 개인이 끝까지 짊어지고자 하였을 때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까지 우리는 언론을 통하여 보고 있다.
어떻게 치매환자를 케어 할 수 있는가? 4차 산업혁명의 기술적 발전으로 바이오헬스산업, 측 의료빅데이타와 인공지능의 결합으로 치매환자의 예후를 계속 축적하여 최적의 치료 및 돌봄 권고안을 실시간 도출, 치매환자의 동선을 실시간 파악하여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한다. 정부의 치매환자의 사회적 책임관리 지침에 감사함을 표하며 이러한 4차산업혁명시대의 기술을 활용하여 국민이 원하는 질 높은 치매관리에 힘써줄 것을 당부한다.   
이러한 기술적 시스템지원과 더불어서 궁극적으로 치매는 극복되어야 할 질환이다. 21세기의 생명과학의 첨단시대에 제대로 된 치매치료제가 왜 없는 것인지? 고민을 해보아야 한다. 본 기고자는 약을 연구하면서 현재 붐같이 조성되고 있는 국내의 신약개발열기를 온몸으로 느끼고 있다. 약물개발의 핵심요소는 약물의 타겟이 분명하여야 하는데 치매를 일으키는 기전을 잘 모르기 때문에 기전, 즉 타겟을 공격할 수가 없는 것이다. 뇌세포의 퇴화가 발생하는 원인을 제시할 수 있으면 치료제개발은 아주 빠른 시간 안에 이루어 질것으로 보이는데 원인을 알 수 없다는 것은 참 안타까운 일이다. 이는 우수한 인재들이 기초과학, 특히 생명과학을 전공하여 뇌과학분야에 집중된 노력을 하였을 때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의학을 비롯한 응용과학을 연구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세포를 밤새 현미경으로 관찰하며 유전자를 조작하며 그 기초적 현상 및 기전을 연구하는 일은 당장에 성과가 미흡하여 보일지는 몰라도 우리가 궁극적으로 극복해야 할 치매와 같은 난치병극복의 근간이 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생명과학의 강국의 문턱에 서있다. 우수한 인재들이 생명과학분야에 몰리고 있으며 신약개발부분에 많은 투자가 시작되고 있는 시대이다. 치매의 국가책임제에 적극 환영하고 기대하면서 동시에 장기간의 인내와 노력이 필요한 분야인 '생명과학' 분야의 젊은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정책이 보다 적극적으로 펼쳐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